국, 찌개, 반찬에 다 쓰이는데…물가 고공행진 중이라는 ‘국민 식재료’

2025-08-23 00:12

add remove print link

원재료는 남아도는 모순적인 상황 일어나

찌개와 반찬에 빠지지 않는 국민 식재료가 요즘 장바구니 물가에서 부담이 되고 있다. 원재료인 콩은 남아도는데, 두부 값은 오히려 더 비싸지는 모순적인 상황이 일어나고 있다.

김치찌개에 두부가 들어가있는 사진 / Hyung min Choi-shutterstock.com
김치찌개에 두부가 들어가있는 사진 / Hyung min Choi-shutterstock.com

요즘 마트에서 두부 한 모를 사려면 수입 콩 두부도 3천 원이 넘고, 국산 콩 두부는 5천 원 안팎을 줘야 한다. 그런데 실제로는 국내에서 생산된 콩이 남아돌고 있다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가격은 오르는데 원재료는 쌓여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은 이해하기 어렵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재래시장에 가면 큰 모판에 담긴 두부를 칼로 잘라 한 모에 500원, 조금 더 커도 1천 원 남짓에 팔던 풍경이 흔했다. 2000년대 초반까지도 일부 시장에서는 그런 방식으로 팔았지만, 대형마트가 생활권을 장악하고, 위생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런 모습은 거의 사라졌다. 두부 가격은 몇 배나 뛰었지만, 정작 콩은 정부 정책에 따라 대량 재배돼 공급이 과잉된 상태다.

정부는 쌀 소비가 줄어드는 대신 단백질 수요가 늘자 벼 대신 콩을 심도록 장려했다. 2023년부터 콩을 전략 작물로 지정해 논에 콩을 심으면 헥타르당 200만 원의 직불금을 지급하면서 재배 면적이 급격히 늘었다. 올해 논콩 재배 면적은 3만 2920헥타르로 지난해보다 50% 가까이 증가했다.

두부찌개 자료사진  / Baenamoo-shutterstock.com
두부찌개 자료사진 / Baenamoo-shutterstock.com

그러나 늘어난 물량이 시장에 직접 풀리지는 않았다. 대부분 정부가 농가의 손실을 막기 위해 사들여 비축했기 때문이다. 동시에 국산 콩 소비를 늘리겠다며 수입 물량을 줄여, 수입 콩 가격마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초 정부의 콩 비축량은 8만 8천 톤으로 전년 대비 80% 가까이 늘었다. 일부 물량을 풀고 있지만 여전히 8만 톤대를 유지하고 있어 추가 매입 여력은 크지 않다. 이 때문에 농가에서는 다시 재배를 줄여야 한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국산 콩 두부 가격이 비싼 이유는 원가 차이 때문이다. 국산 콩 도매가는 40kg당 23만 원대, 1kg으로 환산하면 약 5천 원이다. 반면 수입 콩은 1kg당 1,400원 수준이다. 정부 비축분을 싸게 풀어도 1kg당 3천 원 정도로 여전히 두 배 이상 비싸다.

국산 콩 원료를 쓰려면 영세 두부 공장들은 설비 검증과 포장지 변경 등 절차도 다시 거쳐야 한다. 이런 이유로 국산 콩을 쉽게 쓰지 못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두부를 만드는 모습 / Dhony Agung Prasetyo-shutterstock.com
두부를 만드는 모습 / Dhony Agung Prasetyo-shutterstock.com

정부는 하반기부터 논콩 전량 수매 정책을 폐지하고 국산 콩 소비를 늘리기 위한 홍보 사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수입 콩 재고가 10월이면 바닥날 것으로 보고 있어 두부 가격 하락은 쉽지 않다는 전망이 많다.

결국 콩은 쌓여 있는데 두부 가격은 계속 높은 채로 유지되는 모순적 상황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home 김지현 기자 jiihyun1217@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