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 바꾸면 오른다?… 최근 서울 아파트 곳곳서 퍼지는 의외의 사례

2025-08-21 09:38

add remove print link

행정구역이 다를 경우, 단지명 변경 승인 불가

최근 서울 핵심지인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소재 아파트 단지 사이에서 인기 지역의 구(區) 명칭을 넣어 단지 이름을 바꾸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 뉴스1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 뉴스1

2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 마포구 신수동 '신촌숲아이파크'(1015가구·2019년 8월 입주) 입주자대표회의(입대의)는 최근 '아파트 명칭 변경 및 사전 전자투표 안내'라는 게시물을 올리고 아파트 명칭 변경 추진에 나섰다. 투표는 오는 25일까지로 현재 투표율은 60%를 넘어섰다.

성동구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2027년 완공 예정인 '청계리버뷰자이' 조합은 ‘청계’ 대신 ‘성동’을 단지명에 포함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가운데, 인기 지역 이름을 무리하게 붙이는 경우도 늘고 있다. 양천구 신정·신월동 아파트 상당수가 ‘목동’을 단지명에 넣었고, 강서구 공항동에선 '마곡'을, 송파구 송파동에선 '잠실'을 단지명에 붙이는 등의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 심지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아파트 단지들이 서울 마포구 상암동의 ‘DMC(디지털미디어시티)’ 이름을 사용하는 사례도 있다.

아파트 명칭을 변경하려면 ▲입주민 80% 이상의 동의 ▲시공사 동의(아파트 브랜드명이 포함될 경우) ▲관할 지방자치단체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절차의 번거로움에도 조합들이 단지명 변경을 추진하는 이유는 아파트의 가치 상승과 브랜드 인지도 개선, 집값 상승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성동구 ‘마장동 금호어울림’은 지난해 10월 ‘왕십리 금호어울림’으로 이름을 바꾼 뒤 6개월 사이 전용 84㎡ 매매가격이 34.5% 급등했다. 같은 기간 마장동 전체 아파트값이 큰 변동이 없었던 점을 고려하면 단지명 변경 효과가 뚜렷했다는 분석이다.

광명역. / 뉴스1
광명역. / 뉴스1

아울러 이름에 철도나 신설되는 지하철 역을 붙이는 경우도 있다. 지난해 경기 광명시 '광명역세권 휴먼시아5단지'는 입주 13년 만에 '광명역세권메트로포레'로 개명했다. 광명역까지는 약 1.6㎞로 역세권이라 볼 순 없지만, 단지 자체가 광명역세권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어진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 화성시 '동탄청계숲사랑으로부영' 역시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A 노선 동탄~수서 구간 개통에 맞춰 '동탄역 더힐'로 이름을 바꿨다. 동탄역까진 도보로 32분이 걸린다.

다만 일각에선 이러한 행위가 시장과 실거주자 모두에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법원에선 행정구역이 달라 위치 파악에 혼동을 일으킬 수 있는 단지명으로의 변경은 승인하지 않고 있다. 2020년 서울 양천구 '신정뉴타운롯데캐슬'은 '목동센트럴롯데캐슬'로의 변경을 추진했지만 구청이 반려했다.

서울시 공동주택지원과가 서울시민 10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0%가 아파트명의 글자수로는 4~5글자가 가장 적절하다고 답했다. 길고 복잡한 아파트 이름 탓에 불편을 겪었다는 답변 또한 전체의 70%를 넘겼다.

유튜브, 엠뚜루마뚜루 : MBC 공식 종합 채널
home 이서희 기자 sh030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