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논에서 이렇게 신기한 게 자랄 줄이야… 농민들도 놀란 풍경

2025-08-23 19:26

add remove print link

전 세계에서 정말 익숙한데… 정작 한국인들만 낯설어하는 식재료

열대 벼가 재배되는 곳. / MBC 뉴스
열대 벼가 재배되는 곳. / MBC 뉴스

연일 계속되는 기록적 폭염이 한반도 농업 지형을 바꾸고 있다. 동남아시아 열대지역에서나 볼 수 있던 길고 가는 '열대벼'가 전남 해남군에서 재배되고 있다고 MBC가 22일 보도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고온현상이 일상이 됨에 따라 한국 농업계가 생존을 위한 근본적 전환점을 맞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매체에 따르면 해남군에 위치한 축구장 140개 크기의 친환경 벼 재배단지에서 특이한 벼가 자라고 있다. 한국인이 평소 먹는 찰지고 둥근 '자포니카 품종'이 아니라 길고 가는 낟알을 가진 '인디카 품종', 즉 열대벼다.

열대벼와 한국 전통벼의 차이는 외관에서부터 확연히 드러난다. 일반적으로 동남아시아에서 재배하는 장립종 벼인 열대벼는 자랄 때 일반 벼보다 옆으로 두툼하게 성장한다. 반면 낟알은 한국 벼의 2배 가량 길쭉하고 얇은 형태를 띤다.

품종 특성상으로도 두 벼는 큰 차이를 보인다. 한국의 자포니카 벼는 단립종으로 분류되며, 밥을 지었을 때 찰지고 끈기가 있는 식감을 제공한다. 반면 인디카 계통의 열대벼는 장립종으로, 밥알이 서로 달라붙지 않고 푸석한 식감을 갖는다. 또한 열대벼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내열성이 뛰어나며,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도 상대적으로 강하다.

열대벼 / MBC 뉴스
열대벼 / MBC 뉴스

아미로스 함량에서도 차이가 난다. 전분을 구성하는 성분인 아미로스는 포도당이 직선형으로 연결돼 나선 구조를 이루며 식감과 소화 속도에 큰 영향을 주는 다당류다. 자포니카 벼는 아미로스 함량이 15~20% 정도로 낮아 찰진 맛을 내는 데 반해 인디카 벼는 아미로스 함량이 20~25%로 높아 밥알이 서로 분리되는 특성을 보인다. 이 때문에 인디카 벼로 지은 밥은 볶음밥이나 카레라이스 등에 적합하다.

국내에서는 인기가 없지만 실제로는 전 세계 쌀 유통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글로벌 주력 품종이다. 이 낯선 벼가 한국 땅에서 자라기 시작한 건 2023년부터다.

전국 최초로 자치단체 주도로 시범재배를 시작했고, 올해는 농촌진흥청과 대학, 대기업까지 참여하며 사업이 확대됐다. 기후변화 대응은 물론 늘어난 국내 외국인 수요에 대응하면서 가공밥 수출시장 진출까지 기대하고 있다.

열대 벼 / MBC 뉴스
열대 벼 / MBC 뉴스

땅끝황토친환경영농조합 윤영식 대표는 "지금 10여개 정도의 품종을 계속 시험 재배하고 있고, 그 중에 2개 품종은 상업화가 가능한 시점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사업 확대에는 최근 일본의 쌀값 폭등 현상도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밥쌀 공급 과잉에 대응해 1970년대부터 벼 재배 면적을 줄여온 일본은 2년 전 가을 밤낮없이 이어진 기록적 폭염으로 벼가 여물지 못하면서 1등급 쌀 유통량이 20% 가량 급감했다.

결국 시장에는 품질 좋은 쌀이 사라졌고, 쌀값은 폭등하며 쌀 대란이 발생했다. 일본을 따라 감산정책을 추진 중인 한국 정부도 긴장을 늦출 수 없게 됐다.

'장립형 인디카벼 산업화 플랫폼 개발' 책임연구원인 진중현 세종대 교수는 "지금 경지 면적을 무작정 감소시켰다가는 기후변화라든지 여러 가지 정황을 봤을 때 잘못하면 급박한 문제에 대응할 수 없다"며 열대벼를 재배하면 소비자 변화에도 대응하고 수출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국내에서도 지난해 9월은 역대 가장 더웠다. 벼가 여물어야 할 시기에 밤낮없는 고온이 이어지면서 쌀 품질은 떨어졌다. 올해도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

전남도 농업기술원의 신서호 농업연구사는 "또 가을 날씨가 지난해처럼 33도, 35도 고온으로 또 유지된다면 결국에는 품질 좋은 쌀 생산량에는 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 정부가 추진 중인 '타작물 전환' 정책도 수요 기반이 약하다는 비판에 직면한 상황이다. 기후변화가 가속화하면서 남은 농지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고민이 나날이 깊어지고 있다.

동남아시아 열대지역에서나 볼 수 있던 길고 가는 '열대벼'가 전남 해남군에서 재배되고 있다. / MBC 뉴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