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만나달라"고 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한 말
2025-08-26 05:11
add remove print link
트럼프 대통령 "올해 만나고 싶다"
25일(현지시각) 워싱턴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첫 한미 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은 북미 대화 재개 문제를 집중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세계 지도자 중 전 세계 평화 문제에 (트럼프) 대통령님처럼 이렇게 관심을 가지고 실제 성과를 낸 건 처음”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을 “피스메이커”라고 평가했다. 이어 “가급적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며 김 위원장과의 만남을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에 트럼프월드도 하나 지어서 저도 거기서 골프도 칠 수 있게 해주시고 세계사적인 평화의 메이커 역할을 꼭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미국과 자신을 비난하면서도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특별한 관계를 부정하지 않았다는 점을 언급하며 “기다리고 있다는 뜻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며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나는 그것(김 위원장과의 만남)이 매우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추진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과거 김 위원장과의 관계를 언급하며 “제가 (그 당시) 김 위원장을 ‘로켓맨’이라고 얘기했는데, 다시 한번 얘기를 하게 되기를 바란다. 서로 대화할 준비가 된다면 그런 기회가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1기 집권 시절 김 위원장과 두 차례 정상회담을 했던 경험을 거론하며 “나는 그를 여동생(김여정 부부장)을 제외한 누구보다도 잘 안다”고 강조했다. 기자들이 올해 안에 만날 계획이 있느냐고 묻자 “나는 많은 사람을 만나고 있다. 그래서 말하기는 어렵지만, 올해 그를 만나고 싶다”고 밝혔다.
경제 협력 문제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이 대통령은 “미국이 다시 위대하게 변하고 있는 것 같다”며 “조선 분야뿐 아니라 제조업 분야에서 르네상스가 이뤄지고 있고, 그 과정에 대한민국도 함께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동맹을 군사 분야뿐만 아니라 경제, 과학기술 분야까지 확장해 미래형으로 발전시켰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선소, 선박 건조에 대해 우리는 많은 얘기를 나눌 것”이라며 “미국은 조선업이 상당히 폐쇄됐기에 한국에서 구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한국과 협력을 통해 미국에서 선박이 다시 건조되길 바란다”며 “미국의 조선업을 한국과 협력해 부흥시키는 기회를 갖게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명 ‘마스가(MASGA)’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미국 조선업을 매우 위대하게 만들 것”이라고 답했다. 또 “(한미는) 서로 필요한 관계라고 생각한다. 양국의 제품을 서로가 좋아한다”며 “한국은 에너지가 필요한데, (미국은) 알래스카에 풍부한 자원을 갖고 있다. 한국과 같이 협업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미일 협력 문제도 논의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이 아주 소중한 우방이라고 생각하지만 한일관계가 다소 껄끄러운 부분이 있었다”며 위안부 문제를 언급했다. 그는 “일본은 이 문제를 덮고 싶어했는데 한국은 꼭 짚고 넘어가고자 했다”며 “오래전 과거사 때문에 한국과 일본을 다시 화해시키기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한미일 협력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고, 한미관계 발전을 위해 한일관계도 어느 정도 수습돼야 한다”며 “대통령께서 한미일 협력을 매우 중시하시기 때문에 제가 미리 일본과 만나서 걱정하실 문제를 다 정리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은 한국과의 관계 개선을 적극 바라고 있다. 대북정책에서도 한국과 일본의 이해관계가 일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를 만났을 때, 그 전에 가지고 있던 여러 장애요소가 많이 제거됐다고 생각한다”며 “한일관계의 앞날이 밝다고 본다”고 밝혔다.
중국 문제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 최근에도 대화를 가졌다”며 “올해 아니면 조만간 제가 방중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 대통령에게 “같이 가겠느냐. 같이 방중을 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같이 전용기에 탑승하면 연료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농담을 건넸다. 이 대통령이 “같이 가면 좋겠다”고 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특별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저희가 중국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 여부에 대해 “갈 수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또 “김 위원장과 다시 만날 기회가 있다면 상당히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시 한번 만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주한미군 문제도 언급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걸 지금 말하고 싶지는 않다. 우리는 친구이기 때문”이라며 감축 여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피했다. 다만 주한미군 기지 소유권 문제와 관련해 “우리는 기지를 건설하는 데 엄청난 돈을 썼고 한국이 기여한 게 있지만 난 그걸(소유권을) 원한다. 우리는 임대차 계약을 없애고 우리가 엄청난 군을 두고 있는 땅의 소유권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