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한미정상회담 결과를 혹평하며 이렇게 말했다

2025-08-26 17:38

add remove print link

“이 대통령 체면을 지키려 국민 어깨에 더 무거운 짐 얹힌 외교”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 뉴스1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 뉴스1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25일 한미정상회담에 대해 “국익을 챙기지 못한 외교”라고 평가했다.

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이번 한미정상회담은 한마디로 이재명 대통령의 체면을 지키려 국민의 어깨에 더 무거운 짐을 얹힌 외교였다고 할 수 있다”며 “외교적 결례는 피했을지 모르지만 국민이 얻을 수 있는 실질적 이익은 전혀 보여주지 못한 회담”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정상회담 직후 포고문 서명식에서 기자들에게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 1000억 달러 상당의 미국산 에너지 구매 등을 조건으로 한국이 상호관세율을 낮춘 것”이라며“ ”한국이 재협상을 원하지만 무엇을 얻진 못할 것”이라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나 의원은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미국이 90%의 이익을 취하기로 했다는 내용 등 아직 불분명한 협상 이슈의 어떤 것도 제대로 우리 국익을 챙기지 못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 “주한미군 기지 소유권 이전, 알래스카 LNG 공동개발 참여, 미국산 무기 대규모 구매와 같은 새로운 요구로 한국의 부담을 가중시켰다”고 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직전 SNS 예고대로 한국의 정치상황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드러냈다”며 “이재명 정권 특검의 주한미군 기지, 교회 압수수색 문제를 거론했고, 그 자리에서는 오해라고 했지만 정치보복성 수사를 잭 스미스에 빗댄 농담을 한 뒤 해당 이슈에 대해 논의하겠다는 말을 재차 언급했다”고 밝혔다.

나 의원은 “이재명 정부의 무도한 정치상황이 우리 국익에 해가 될 수 있음이 암시된 것”이라며 “트럼프의 일관된 정책은 미국의 국익에 부합하면 모든 사람과 잘 지내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 시진핑(중국 국가주석), 푸틴(러시아 대통령)과도 잘 지낸다고 강조하고 있다”고 썼다.

그는 “한국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저자세로 모든 것을 협조할 제스처를 공개적으로 보이고 있는데 면전에서 박대할 필요는 전혀 없었을 것”이라며 “그러나 최악의 상황을 모면하는 대가로 국가적으로도, 동행 기업들에도 막대한 경제적·외교적 부담을 떠안게 한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든다”고 했다.

나 의원은 “정부여당은 이번 회담의 결과를 자화자찬할 것이 아니라 냉정히 점검해야 한다”며 “미국의 새로운 요구에 대해서는 국민과 국익을 최우선에 두는 철저하고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 의원이 올린 글>

이번 한미정상회담은 한마디로, 이재명 대통령의 체면을 지키려, 국민의 어깨에 더 무거운 짐을 얹힌 외교였다고 할 수 있다.

외교적 결례는 피했을지 모르지만, 국민이 얻을 수 있는 실질적 이익은 전혀 보여주지 못한 회담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 직후 포고문 서명식에서 기자들에게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 1000억 달러 상당의 미국산 에너지 구매 등을 조건으로 한국이 상호관세율을 낮춘것이며,

한국이 재협상을 원하지만 무엇을 얻진 못할 것이라는 발언을 했다.

결국 3500억 달러 대미투자, 미국이 90%의 이익을 취하기로 했다는 내용 등

아직 불분명한 협상 이슈의 어떤 것도 제대로 우리 국익을 챙기지 못한 상황이다.

게다가 주한미군 기지 소유권 이전, 알래스카 LNG공동개발 참여, 미국산 무기 대규모 구매와 같은 새로운 요구로 한국의 부담을 가중시켰다.

또한 트럼프대통령은 직전에 SNS예고대로 한국의 정치상황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드러냈다. 이재명정권 특검의 주한미군기지, 교회 압수수색 문제 등.

그 자리에서는 오해라고 했지만, 이재명정권 특검의 정치보복성 수사를 잭 스미스에 빗대는 뼈있는 농담에 이어, 해당 이슈에 대해 논의하겠다는 말을 재차 언급하기도 했다.

이재명정부의 무도한 정치상황이 우리 국익에 해가 될 수 있음이 암시된 것이다.

트럼프의 일관된 정책은 미국의 국익에 부합하면 모든 사람과 잘 지내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

김정은과 잘 지내고 시진핑과 관계가 나쁘지 않고 푸틴과도 잘 지낸다는 것을 수시로 강조하고 있다.

한국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 저자세로 모든 것을 협조할 제스처를 공개적으로 보이고 있는데, 면전에서 박대할 필요는 전혀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오히려 최악의 상황을 모면하는 대가로 국가적으로도 또 동행 기업들에게 막대한 경제적, 외교적 부담을 떠안게 한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든다.

정부여당은 이번 회담의 결과를 자화자찬 할 것이 아니라, 냉정히 점검하고, 미국의 새로운 요구에 대해서는 국민과 국익을 최우선에 두는 철저하고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