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한복 우대정책’ 논의…문화정책 실효성엔 숙제 남겨
2025-08-28 14:29
add remove print link
입장료 감면·한복의 날 지정 등 논의…전통 계승 방안 모색
한복 문화 장려, 인센티브만으론 한계…일상 속 확산 전략 필요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전통문화 계승을 위한 정책 논의가 활발하지만, 시민의 일상과 괴리된 형식적 접근이라는 지적도 함께 제기된다. 대전시의회가 전통복식인 한복 착용 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입장료 감면 등 인센티브 방안을 검토했지만, 한복을 즐겨 입는 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보다 실효적인 방안이 요구된다는 목소리가 크다.
28일 대전시의회는 시의회 소통실에서 ‘한복을 즐겨 입는 문화 정착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시민체감형 한복 장려 정책에 대해 논의했다. 좌장을 맡은 박종선 의원(무소속, 유성구1)은 “조례는 만들었지만 실제 정책 체감도는 낮다”며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 필요성을 언급했다.
토론회에서는 한복 착용 시 대전시 공공문화시설의 입장료 감면, ‘대전광역시 한복의 날’ 지정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됐다. 그러나 단순 인센티브 중심의 접근이 실질적 문화 정착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적 시각도 존재했다.
발제자로 나선 박정하 중부대 교수는 한복과 과학이라는 지역 자산을 결합한 관광 콘텐츠 개발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혜영 대전전통문화연구원 이사장은 생활한복과 퓨전한복을 포함한 다양한 복식 문화의 수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생애주기별 한복 착용 문화를 강조한 오국희 본부장과, 콘텐츠 산업과 연계한 한복 아이콘화 전략을 제시한 이희내 이사 등 실용성과 현대적 접근을 강조하는 의견도 이어졌다.
한복은 단순한 복장이 아니라 정체성과 역사, 문화가 담긴 상징이다. 정책이 단발성 논의에 그치지 않으려면 시민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대전시의회의 시도가 그 출발선이라는 점에서 의미는 있지만, 진정한 한복 문화 정착을 위해선 형식보다 실질이 우선이라는 시민사회의 요구에 귀 기울여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