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칭 통한 '노쇼 사기' 기승… 상반기 피해액 414억, 검거율은 0.7%
2025-09-05 18:49
add remove print link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노쇼 사기’… 자영업자 피해 집중
검거율 0.7%… 수사 미비에 사각지대 우려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최근 공공기관이나 기업을 사칭해 고가의 식음료 선결제를 유도한 뒤 예약을 취소하고 잠적하는 이른바 ‘노쇼 사기’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피해 규모에 비해 검거율은 1%에도 미치지 못해 경찰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정현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 대덕구,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7월까지 전국에서 총 2,892건의 노쇼 사기가 발생했으며, 피해액은 약 41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쇼 사기 수법은 주로 기업이나 공공기관 직원을 사칭해 음식점 등 소상공인 업장을 대상으로 예약을 진행한 뒤, 특정 고가 품목의 선결제를 요구하고 그대로 연락을 끊는 방식이다. 피해자 대부분은 소상공인 또는 자영업자로, 하루 수익에 큰 영향을 받는 구조 속에서 고의적인 허위 예약으로 인해 막대한 금전적 손실을 입고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577건이 발생했으며, 피해액은 79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어 경북(284건, 38억 원), 서울(281건, 33억 원), 전북(215건, 35억 원) 순이었다.
그러나 검거 실적은 전국적으로 단 22건(0.7%)에 그쳤다. 서울, 부산, 인천, 울산, 세종, 경기북부, 충남, 경북, 제주 등 여러 지역에서는 단 한 건의 검거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범행이 대부분 전화 또는 메신저를 통해 이뤄지고, 위조된 명함이나 신분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수사에 어려움이 따른다고 분석하고 있다.
박정현 의원은 “노쇼 사기는 겉보기에는 단순한 사기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이름 있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해 서민을 대상으로 고의적으로 피해를 유도하는 악질 범죄”라며 “정부와 경찰이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근절을 위한 보다 실질적인 대책과 수사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