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복지센터 80% 안전요원 없어…“악성민원 대응 사각지대”

2025-09-10 15:14

add remove print link

최근 3년간 위법행위 1만209건 발생, 연평균 3,403건
울산·대전·전북은 전무, 전담부서 운영 지자체도 15% 불과

행정복지센터 80% 안전요원 없어…“악성민원 대응 사각지대”<자료사진> / 뉴스1
행정복지센터 80% 안전요원 없어…“악성민원 대응 사각지대”<자료사진> / 뉴스1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전국 행정복지센터 10곳 중 8곳에는 안전요원이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위법행위만 1만여 건이 보고돼 공무원 안전이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박정현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 대덕구)이 각 지자체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3,557개 행정복지센터 중 안전요원이 배치된 곳은 728곳으로 20%에 불과했다.

행정복지센터는 주민 생활과 밀접한 민원을 다루는 최일선 창구다. 하지만 최근 3년간(2022~2024) 전국 센터에서 발생한 민원인 위법행위 건수는 1만209건에 달했다. 폭언·욕설은 물론 기물 파손, 폭행 위협까지 이어지며 연평균 3,403건이 보고됐다.

특히 울산, 대전, 전북은 모든 행정복지센터에 안전요원이 단 한 명도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대구·경북·충북도 배치 인원이 각각 3명, 2명, 2명에 그쳐 사실상 보호 장치가 없는 상태다.

악성민원 대응 전담부서를 운영하는 지자체는 전국 245곳 중 36곳(15%)에 불과했다. 상당수 현장에서는 악성민원 발생이 집계조차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실제 위법행위 건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행정복지센터 80% 안전요원 없어…“악성민원 대응 사각지대. 밪정현 의원” / 박정현 의원실
행정복지센터 80% 안전요원 없어…“악성민원 대응 사각지대. 밪정현 의원” / 박정현 의원실

박 의원은 “행정복지센터는 국민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민원을 처리하는 최전방 기관이지만, 안전 확보는 여전히 미흡하다”며 “정부와 행정안전부가 안전요원 확충과 전담부서 설치 등 실효성 있는 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정복지센터 안전 인프라 부족은 단순한 근무 환경 문제가 아니라 공무원 인권과 직결된 문제다. 체계적 대응책 마련 없이는 악성민원으로 인한 현장 혼란과 공무원 피로도는 더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