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택배 쌓이면 신상 줄줄 샌다...의외의 원인은 ‘이것’ 때문
2025-10-08 12:30
add remove print link
택배사마다 다른 마스킹 규칙, 조합하면 이름·연락처까지 유추 가능
정부, 통일 기준 마련해 개인정보 노출 우려 차단 나서
택배가 쌓이면 이름과 전화번호 같은 신상이 고스란히 새어 나간다. 택배사마다 제각각인 마스킹 규칙 탓에 운송장을 모아보면 개인 정보가 쉽게 드러나는 것이다.

추석을 앞두고 집집마다 택배 상자가 쌓여가는 풍경은 낯설지 않다. 문제는 선물만큼이나 쏟아져 나오는 운송장이다. 재활용을 위해서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서도 송장을 떼어내 버려야 하지만 생각보다 번거롭다. 그냥 버리자니 쓰레기통을 뒤져 누군가 내 정보를 빼갈지도 모른다는 불안이 남고, 그렇다고 일일이 뜯어내는 일도 귀찮다. 그래서 어떤 이는 운송장을 북북 찢어내 쓰레기통에 버리고, 또 다른 이는 미니 세절기를 따로 사서 갈아 없애기도 한다.
각자 나름의 방식으로 애써도 ‘혹시 내 이름과 연락처가 노출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은 늘 따라붙는다. 게다가 택배사마다 이름을 가운데 글자만 가리거나, 전화번호 뒤 네 자리만 가리는 등 규칙이 제각각이라 다른 운송장을 조합하면 충분히 이름과 연락처를 유추할 수 있는 허점까지 있었다. 하지만 이런 걱정이 곧 사라질 전망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달 12일 제20회 전체회의를 열고 국토교통부와 함께 택배 운송장의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선 사항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8개월 동안 국토부에 등록된 19개 택배사와 우정사업본부, 주요 운송장 출력업체를 점검했다.
점검 결과 대부분 개인정보를 가림 처리하고 있었지만 사업자마다 가리는 위치와 방식이 달라 보호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예를 들어 어떤 택배사는 이름의 가운데 글자를, 다른 곳은 마지막 글자를 가렸고 전화번호 역시 가운데 네 자리나 마지막 네 자리를 가리는 등 제각각이었다. 이런 방식이 병존할 경우 여러 운송장을 조합하면 수취인의 이름이나 연락처가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개인정보위는 그간 이름 가운데 글자와 전화번호 마지막 네 자리를 가리도록 안내해 왔지만 사업자별 자율 규칙으로 인해 통일성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국토부에 ‘택배 운송장 마스킹 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을 권고했고, 국토부는 택배사들의 의견을 수렴해 연내에 ‘택배 운송장 개인정보 마스킹 통일 규칙’을 제정해 보급할 예정이다. 이 규칙은 국토부에 등록된 모든 택배사에 적용되며, 쇼핑몰이나 외부 출력업체를 통한 운송장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관리가 강화된다.
위원회는 연간 60억 건에 달하는 택배 서비스에서 국민의 개인정보가 더욱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 협력해 제도를 개선한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국토부와 함께 이행 점검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국토부 역시 이번 통일 규칙을 모든 택배사가 활용할 수 있도록 권고하고 국민 편익 증진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택배 상자를 버릴 땐 운송장을 그대로 두지 않는 게 기본이다. 그냥 쓰레기통에 넣으면 누군가 뒤져서 이름과 연락처를 빼갈 수 있다. 그래서 운송장은 반드시 지워서 버려야 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손으로 북북 찢어서 글자가 이어지지 않게 흩어 버리는 것이다. 조금 더 확실하게 하고 싶다면 미니 세절기를 이용해 잘게 갈아 없애는 방법이 있다. 시중에서 파는 개인정보 보호 스티커를 붙여 주요 정보를 가린 뒤 버리는 것도 효과적이다.
추석처럼 택배가 몰려드는 시기에는 운송장이 평소보다 훨씬 많이 쌓인다. 귀찮더라도 가족끼리 모아둔 운송장을 한꺼번에 파쇄하거나 불에 태워 없애는 습관이 안전하다. 중요한 건 어떤 방법을 쓰든 내 정보가 읽히지 않게 처리하는 것이다. 작은 습관 하나가 개인정보 유출을 막는 확실한 방패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