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킥보드 뺑소니 4년 새 6.7배 급증…피해자 5명 중 2명은 아동·고령층
2025-09-12 12:43
add remove print link
지난 5년간 408건 발생, 수도권 집중…사망사고도 보고
박정현 의원실 “도주 행위 엄벌·경찰 단속 강화 필요”

[세종=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뺑소니 사고가 최근 5년간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피해자 가운데 아동과 고령층 비중이 높아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더불어 민주당 한병도 의원실을 통해 받은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개인형 이동장치 뺑소니 사고는 2020년 22건에서 2024년 147건으로 4년 만에 6.7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누적 사고는 408건에 달하며, 이로 인해 2명이 숨지고 430명이 다쳤다.
지역별로는 이용률이 높은 수도권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경기도는 2020년 6건에서 2024년 60건으로 늘었고, 2021년과 2024년에는 사망사고도 각각 1건씩 보고됐다. 서울은 같은 기간 15건에서 26건, 인천은 1건에서 13건으로 증가했다. 비수도권에서는 광주(25건), 대구(18건), 충남(16건)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 피해 현황을 보면 최근 5년간 전체 432명 중 0~12세 아동이 87명(20.1%), 60세 이상 고령자가 79명(18.3%)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약자층이 피해에 더 취약하다는 점이 드러난 셈이다.
한병도 의원은 “전동킥보드가 이용 장벽이 낮다 하더라도 자동차로 분류되는 만큼, 사고 후 도주는 중대 범죄”라며 “특히 골목 통행이 쉽고 번호판이 없어 추적이 어려운 특성을 악용한 뺑소니 행위는 엄벌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경찰청이 법규 위반 근절을 위해 계도·홍보와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인형 이동장치가 생활형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뺑소니 사고 증가와 피해자 연령대 분포는 제도적 보완 필요성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면허제 강화, 번호판 부착 의무화 등 제도 개선과 함께 시민 안전의식을 높이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