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빨개지고 잠 못 자는 엄마에게 '서리태' 챙겨 드리세요
2025-09-14 20:18
add remove print link
항산화와 영양의 보고: 서리태의 놀라운 효능
밥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콩 가운데 유독 깊고 묵직한 맛으로 사랑받는 서리태는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건강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서리태는 껍질은 검지만 속은 초록빛을 띠는 독특한 콩으로, ‘속청콩’이라고도 불린다. 과거에는 주로 밥에 넣거나 콩자반으로 활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건강을 챙기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차, 두유, 분말 등 다양한 형태로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항산화 성분과 단백질이 풍부하다는 연구 결과가 알려지면서 슈퍼푸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항산화 성분이 가득한 검은 껍질
서리태가 일반 콩보다 주목받는 이유는 껍질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때문이다. 안토시아닌은 블루베리나 포도 껍질에도 많이 들어 있는 천연 색소 성분으로,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한다. 이는 체내 활성산소를 줄이고 세포 노화를 늦추는 데 기여한다. 꾸준히 섭취하면 피부 탄력을 유지하고 혈관 건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특히 중년 이후 세대에게 인기가 높다. 또한 시력 보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눈 건강 관리에도 도움이 된다.
◆ 단백질과 이소플라본의 조화
서리태는 단백질이 풍부해 근육과 뼈 건강에 이롭다. 동물성 단백질에 비해 소화가 잘되고 부담이 적어 다이어트 중인 사람이나 고령층에게 알맞다. 또한 여성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이소플라본이 풍부해 갱년기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얼굴이 붉어지거나 수면장애, 기분 변화 같은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서리태는 여성 건강을 지키는 대표적인 곡물로 꼽힌다.

◆ 혈관과 심장 건강에 좋은 선택
검은 콩 속 안토시아닌과 사포닌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액 순환을 돕는 데 기여한다. 혈관 벽에 쌓이는 노폐물을 줄여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심장질환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나트륨 배출을 촉진하는 칼륨 함량도 높아 고혈압 관리에 효과적이다. 현대인들이 흔히 겪는 성인병 예방 차원에서 서리태는 식탁에 자주 오를 가치가 충분한 식품이라 할 수 있다.
◆ 다이어트와 장 건강을 돕는 식이섬유
서리태에는 식이섬유도 풍부하다. 이는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 과식을 줄이고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된다. 또한 장 운동을 촉진해 변비 예방에 유익하며, 장내 유익균의 성장을 도와 장 건강을 개선한다. 최근에는 장내 미생물 균형이 면역력과 직결된다는 사실이 강조되는 만큼, 서리태의 식이섬유는 단순히 소화 개선을 넘어 전반적인 건강 관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다양한 섭취 방법과 활용도
서리태는 단순히 밥에 넣어 먹는 것 외에도 활용법이 무궁무진하다. 고소한 맛 덕분에 콩자반이나 콩국수 재료로 잘 어울리며, 서리태를 갈아 만든 두유는 부드럽고 풍미가 깊다. 분말 형태로 가루를 내어 요거트나 샐러드에 뿌려 먹는 것도 간편한 방법이다. 최근에는 서리태를 원재료로 한 건강 보조제도 시중에 판매되고 있어 바쁜 현대인들도 쉽게 영양을 챙길 수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따뜻한 서리태 차로 끓여 마시면 몸을 덥히고 혈액순환을 돕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섭취 시 주의할 점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과하면 독이 된다. 서리태 역시 지나치게 많은 양을 한꺼번에 섭취하면 소화 불량이나 복부 팽만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생콩에는 해로운 성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한다. 하루 권장량은 30~50g 정도로, 꾸준히 적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신장 기능이 약한 사람은 단백질 과다 섭취를 피해야 하므로 전문의와 상담 후 섭취하는 것이 좋다.
◆ 전통과 현대가 만난 건강식품
서리태는 예로부터 귀한 대접을 받아왔다. 조선시대 문헌에서도 ‘흑태는 원기를 북돋우고 혈색을 좋게 한다’는 기록이 남아 있을 정도다. 오늘날에도 그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다. 오히려 현대의 영양학적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효능이 입증되면서 전통과 현대가 만난 건강식품으로 자리 잡았다. 값비싼 수입 슈퍼푸드에 의존하기보다, 우리 땅에서 나는 서리태를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