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쏘나타가 도요타 캠리보다 비싸진다

2025-09-16 08:50

add remove print link

미국, 16일부터 일본차 관세 15%로 인하

현대자동차 쏘나타 /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 쏘나타 / 현대차 제공
미국에서 현대자동차 쏘나타의 가격이 도요타자동차 캠리보다 비싸진다.

미국 행정부가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16일부터 현행 27.5%에서 15%로 인하한다고 15일 밝혔다.

미국 상무부는 이날 연방 관보를 통해 이번 조치가 미국 동부시간 16일 오전 0시 1분부터 발효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한국 자동차업계가 가격 경쟁력에서 불리해지는 상황을 맞게 됐다.

도요타자동차 캠리 / 도요타 제공
도요타자동차 캠리 / 도요타 제공

이번 관세 인하는 지난 7월 타결된 미일 무역합의 이행 조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일 일본산 자동차 추가 관세율을 25%에서 12.5%로 낮추는 행정명령에 서명함에 따라 실현됐다. 일본 자동차업체들은 이제 기존 관세 2.5%와 추가 관세 12.5%를 합쳐 총 15%의 관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반면 한국산 자동차는 여전히 25%의 관세를 부담해 일본 대비 10%포인트 높은 관세를 지게 됐다. 이로 인해 현재 미국에서 기본 트림 기준 2만6900달러에 판매되는 쏘나타가 2만8400달러인 캠리보다 5% 이상 저렴했던 가격 우위가 뒤바뀔 전망이다.

한국도 지난 7월 말 한미 무역 합의에서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했으나, 미국 측의 후속 이행 조치가 지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무역 협상을 위해 워싱턴에 도착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우리도 최대한 빨리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협상 과정이니 일희일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3일부터 자동차에, 5월 3일부터 자동차 부품에 각각 25% 관세를 기존 관세에 추가 부과했다. 이후 한국과 일본 모두 미국과 무역 협상을 타결해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합의했으나, 협상 세부 내용을 둘러싼 이견으로 관세 인하 시행이 지연돼 왔다.

일본이 먼저 관세 혜택을 받게 된 배경에는 미국의 요구를 대폭 수용한 양보안이 있다. 일본은 미국산 농산물을 연간 80억달러 규모로 추가 구매하고 미국산 쌀 수입량을 75% 늘리기로 했다. 또한 5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며 투자처 선정권을 미국에 일임하고, 투자 이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가는 조건을 받아들였다.

한국도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했으나 투자 방식을 둘러싸고 미국과 이견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지분 투자를 최소화하고 대부분을 보증으로 하려 하지만, 미국은 일본과 같은 사실상의 '백지수표'를 요구하고 있다.

여한구 본부장은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며 "디테일을 갖고 치열하게 협상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익에 최대한 부합하게 합리적인 협상 결과를 만들어야 하는 게 가장 중요한 과제"라며 투자 방식에 대해 "어떤 게 우리한테 가장 최선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가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여 본부장은 이르면 16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와 만난다. 다만 그리어 대표의 소관은 무역장벽이고, 대미 투자 방식 협상은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 주도해 이번 회담에서 투자 방식 관련 돌파구를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산 수입품에 대해 기존 관세와 상호관세를 합산해 세율이 일률적으로 15%가 되도록 조정했다. 이 조치는 미국 동부시간 지난달 7일 오전 0시 1분으로 소급 적용된다. 또한 엔진 부품, 축전지, 기내 모니터 등 항공기 부품 490개 품목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했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