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님, 그 기름은 안돼요” 카놀라유·포도씨유·해바라기유의 확실한 '차이점'

2025-09-23 12:05

add remove print link

건강한 추석을 위한 기름 선택 가이드

추석 명절이면 가정마다 기름을 활용한 요리가 늘어난다.

산적, 전, 튀김 등 다양한 전통 음식은 기름을 기본으로 조리되지만, 종류와 특성에 따라 건강과 맛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달라진다. 최근 건강 전문가들은 “기름을 선택할 때 발연점과 지방산 구성, 조리 방법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 카놀라유, 튀김과 볶음에 적합

카놀라유는 발연점이 약 230도 내외로 비교적 높아 전, 튀김, 볶음 등 높은 온도에서 조리할 때 안정적이다.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 도움을 주지만, 장시간 고온에서 조리하면 산화돼 유해물질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기름을 과도하게 가열하지 않고, 필요한 양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포도씨유, 풍미 살리는 고온 요리

포도씨유는 발연점이 215~220도로 카놀라유와 비슷하며, 오메가-6 지방산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고온에서 조리하기 적합하고, 산적이나 채소 볶음 등 풍미를 살리고 싶은 요리에 활용된다. 그러나 오메가-6 지방산 과다 섭취는 염증 반응을 높일 수 있어, 다른 식물성 기름과 섞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바라기유, 산뜻한 맛과 튀김에 유리

해바라기유는 발연점이 225도 정도로 튀김용으로 흔히 쓰인다. 비타민 E가 풍부해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리놀레산이 많아 과도하게 가열하면 산화에 취약하다. 따라서 튀김은 짧은 시간에 조리하고, 사용 후 남은 기름은 재사용하지 않는 것이 건강에 유리하다.

올리브유, 건강 요리에 강점

올리브유는 발연점이 160~190도로 일반 튀김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지만, 저온 조리나 샐러드, 마무리 요리에 활용하면 풍미와 건강을 동시에 챙길 수 있다. 올리브유에는 올레산과 폴리페놀이 풍부해 혈관 건강과 항산화 작용에 도움을 준다. 기름이 타면 발암물질이 생길 수 있으므로, 가열 시 온도를 주의해야 한다.

참기름과 들기름, 풍미 중심 사용

참기름과 들기름은 발연점이 낮아 조리보다는 향을 살리는 용도로 적합하다. 전이나 볶음 요리에 소량 첨가하면 고소한 맛을 낼 수 있지만,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면 성분이 변질되므로 마지막 단계에 넣는 것이 좋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 고온 조리 시 유해물질 주의

모든 식용유는 고온에서 조리하면 산화 및 발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아크릴아마이드, 트랜스지방 등 유해물질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산화에 취약한 불포화지방이 많은 기름을 장시간 가열하면 몸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전문가들은 “튀김이나 전 요리를 할 때는 기름을 과열하지 않고, 180~200도 내외에서 조리하며, 조리 시간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기름 선택과 혼합 활용법

최근 가정에서는 건강과 맛을 동시에 고려해 기름을 혼합해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예를 들어, 카놀라유와 올리브유를 7:3 비율로 섞으면 발연점은 유지하면서 올리브유의 건강 성분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포도씨유나 해바라기유는 고온 조리에, 올리브유와 참기름은 마무리 향을 위해 사용하는 방식이 권장된다.

◆ 명절 음식, 건강하게 즐기는 방법

명절 요리를 준비할 때는 기름의 종류뿐 아니라 양과 조리법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과도한 기름 사용은 체중 증가와 혈중 지질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오래 가열된 기름은 산화물로 인해 소화기 부담을 높인다. 조리 전 팬을 충분히 예열하고, 기름 양은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며, 조리 후 표면 기름을 키친타월로 제거하면 칼로리를 줄이는 데 도움된다.

home 위키헬스 기자 wikihealth7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