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리에서 사망한 20대 아들, 시신에서 심장이 없어졌습니다”

2025-09-23 14:12

add remove print link

충격적인 해외 사망 사건, 유족의 눈물

세계적인 휴양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20대 호주 남성이 사망한 뒤, 시신이 가족 동의 없이 일부 장기가 사라진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발리는 한국인들에게도 인기 많은 대표적인 신혼여행지다.

사망자는 호주 퀸즐랜드 출신 바이런 해도우(23)로, 지난 5월 26일 발리의 한 개인 빌라 수영장에서 의식을 잃은 채 발견됐다. 당시 그는 현지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으나 끝내 숨을 거두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 사망 원인과 현지 수사 과정 의문

현지 수사 당국은 해도우의 사망 원인을 익사로 판정했다. 그는 업무 차 발리에 머물던 중이었으며, 사건 초기 발리 당국은 이를 ‘의심스러운 사망’으로 분류했다. 하지만 뉴스닷컴 보도에 따르면, 실제 사건은 발생 나흘 뒤인 5월 30일에서야 경찰에 보고되었고, 경찰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사건 관련 장소가 훼손된 상태였다.

시신은 먼저 발리의 한 사립병원으로 옮겨져 사망진단서를 발급받았다. 이후 호주 브리즈번으로의 송환을 준비하기 위해 발리 장례식장으로 이송됐다. 문제는 유족이 시신을 인도받기 전, 이미 사망진단서가 발급됐고, 사인은 익사로 기재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 심장 적출 사실 뒤늦게 발견, 유족 충격

사건의 핵심 논란은 해도우의 심장이 가족 동의 없이 적출되어 발리에 남겨진 사실이다. 유족은 퀸즐랜드에서 두 번째 부검을 진행하던 중 심장 적출 사실을 확인했다. 해도우의 부모는 발리 현지 법률대리인을 통해 낸 성명에서 “사전에 아무런 동의나 설명이 없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어 “아들의 시신은 사망 후 거의 4주가 지나서야 돌아왔고, 장례 이틀 전 퀸즐랜드 검시관으로부터 심장이 발리에 남겨졌다는 사실을 전달받았다. 이는 가족에게 사전 고지 없이 이루어진 비인도적 행위”라고 전했다.

◆ 시신 상태와 사인 논란

유족 측은 사망진단서의 사인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고인은 평소 수영에 능숙했고, 키가 178㎝로 비교적 컸기 때문에 깊이 1.5m 수영장에서 익사했다는 현지 당국의 설명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시신 곳곳에서 상처와 멍이 발견됐고, 시신을 감쌌던 수건에서도 혈흔이 확인되어 의혹이 확산됐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Motortion Films-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Motortion Films-shutterstock.com

◆ 장기 적출과 법적·윤리적 문제

이번 사건은 해외에서 발생한 사망 사고와 관련해 장기 적출과 관련된 윤리적·법적 문제를 다시금 부각시킨 사례로 평가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사망자의 장기 사용에 대해 가족 동의가 필요하나, 현지 절차와 통보 과정에서 유족에게 충분한 설명이 없었던 점이 지적된다. 전문가들은 “해외에서 사망한 경우에도 장기 적출 및 의료 절차는 반드시 유족 동의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국제적 기준과 법적 절차가 준수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유족은 발리 당국의 설명 부재와 사후 처리 과정이 국제적 신뢰를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구체적인 사건 경위와 장기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 호주 퀸즐랜드 수사 당국은 이번 사건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 중이며, 시신 처리와 장기 적출 과정의 적법성과 윤리성을 검토하고 있다.

◆ 건강·사망 사건 관리의 중요성

해외에서 발생하는 사망 사건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제적 법적·윤리적 책임과도 연결된다. 사망자와 유족의 권리를 보호하는 절차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으면, 의료 윤리 논란은 물론 외교적 문제로까지 번질 수 있다.

특히 장기 적출과 같은 의료 행위는 투명한 설명과 동의 없이는 심각한 인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 사회는 관련 기준 강화와 감독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유족에게 깊은 충격을 남겼으며, 해외 여행과 장기 체류, 의료 사고에 대한 위험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해외에서 의료와 관련한 사망 사건이 발생하면 현지 의료기관, 법 집행기관, 그리고 본국 당국이 유기적으로 소통하고, 모든 절차와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는 것이 필수”라고 지적했다.

home 김민정 기자 wikikmj@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