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50만원 부으면 정부가 매달 6만원 더 주는 '파격 적금' 출시 확정…신청 조건은?

2025-10-05 14:00

add remove print link

청년의 미래를 응원하는 파격적인 금융 지원

내년 6월부터 중소기업에 새로 취직한 청년이 월 50만원을 적립하면 정부가 매달 6만원을 추가로 지원하는 '청년미래적금'이 본격 시행된다. 최근 정부는 청년 자산 형성부터 주거, 교육, 교통, 일자리, 창업까지 청년 삶 전반을 뒷받침하는 종합 지원책을 내놨다.

청년미래적금이란?!

정부가 내놓은 '국민주권정부 청년정책 추진 방향' 가운데 가장 주목받는 과제는 단연 '청년미래적금'이다. 기존 청년도약계좌와 비교했을 때 청년들에게 더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개편된 것이 특징이다.

우선 납입 기간이 기존 5년에서 3년으로 단축됐다. 이는 청년들이 장기 불확실성에 부담을 느끼지 않고, 보다 짧은 기간 안에 자산을 모을 수 있도록 배려한 조치다. 또 정부 기여금도 대폭 확대됐다. 기존 제도에서는 월 납입액의 3~6%만큼만 정부가 얹어줬지만, 청년미래적금에서는 6~12%까지 늘어 사실상 두 배 가까운 지원 효과가 발생한다.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자료사진.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자료사진.

지원 대상은 연소득 6000만원 이하이면서 가구 기준 중위소득 200% 이하인 청년으로 제한된다. 조건을 충족한다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 실질적 범용성이 넓다. 구체적으로 일반형 적금에 가입할 경우 3년간 매달 3만원, 총 108만원을 정부가 추가로 지원한다. 여기에 더해 중소기업에 새로 취업한 청년이라면 우대형을 적용받아 3년간 매달 6만원, 총 216만원을 더 받을 수 있다. 단순히 은행에 저축만 해도 3년 뒤 큰 폭의 자산 형성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셈이다.

이처럼 청년미래적금은 기간 단축과 지원금 확대라는 두 가지 핵심 변화를 통해 청년들의 금융 자립을 돕는 새로운 제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경제적 불확실성이 큰 시대에 청년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자산을 모을 수 있도록 설계된 만큼, 향후 청년층의 참여와 성과가 주목된다.

청년미래적금은 단순한 금융상품이 아닌, 청년 자산 형성의 든든한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더불어 주거·교육·교통·일자리·창업 등 다각적 지원이 병행되면서, 청년들이 당장의 생활비 부담을 줄이고 미래 설계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고 있다.

청년 주거 지원 확대

청년들 주거 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도 강화된다. 정부는 무주택·저소득 청년을 대상으로 2년간 최대 월 2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월세 지원’ 제도를 기존 한시 사업에서 계속 사업으로 전환한다. 지원 대상도 점차 넓히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2030년까지 수도권에 청년 임대주택 2만8000호를 공급하고, 청년층이 선호하는 지역에는 공공임대주택을 추가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비 부담 완화

청년·대학생들의 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가장학금 지원도 확대된다. 기존 10구간 중 1~8구간의 지원 금액을 최소 10만원에서 최대 40만원까지 인상해, 등록금 부담을 경감한다.

기사 내용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자료사진.
기사 내용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자료사진.

교통비 절감…대중교통 정액패스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비 절감 대책으로는 **‘대중교통 정액패스’**가 신설된다. 월 5만5000원만 내면 20만원어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제도로, 교통비 절약 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직업훈련 지원

장기 미취업 청년들에게는 ‘일자리 첫걸음 센터’를 통해 집중 지원을 강화한다. 6개월 이상 실업 상태가 이어지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상담과 취업 알선이 제공된다.

또 청년들이 선호하는 첨단 분야 취업을 위해 AI·빅데이터 전문기업과 연계한 직업훈련을 확대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기업이 직접 참여해 훈련을 지원하며, 수료 후 실무 경험과 채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연계 시스템도 구축된다.

창업 안전망 강화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들을 위해 정부는 ‘창업 루키 프로젝트’를 신설한다. 창업 실패를 경험한 청년에게는 원인 분석, 컨설팅, 재도전 자금 등 패키지형 지원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한 번의 실패가 청년 창업의 좌절로 이어지지 않도록 제도적 안전망을 마련한다는 취지다.

지역 정착 유도

정부는 청년들의 비수도권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도 제시했다. 비수도권 중소기업에 취업해 2년간 재직하면 480만원을, 인구감소지역에서 근무하면 720만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소멸 위기를 완화하고 청년 인구 분산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청년 참여 확대

청년 정책의 설계와 집행 과정에 청년의 직접 참여를 늘린다. 국무총리 직속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 청년 60명이 포함된 6개 전문위원회를 신설하고, 227개 정부위원회 위원 정원의 10%를 청년으로 채운다.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개최한 청년 타운홀 미팅처럼 청년과 정부가 직접 국정 현안을 논의하는 장도 확대할 방침이다.

유튜브, 김짠부
home 권미정 기자 undecided@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