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조 가입자 960만 명…보장 못 받는 ‘반쪽짜리 선수금 제도’...?

2025-09-26 13:35

add remove print link

최근 5년간 피해 1,400억 원…대규모 소비자 손실 매년 반복
강준현 의원 “전액 보전·건전성 사전 점검 체계 도입 시급”

최근 5년간 상조업체 소비자 피해 1,400억원 넘어. 강준현 의원. / 의원실 제공
최근 5년간 상조업체 소비자 피해 1,400억원 넘어. 강준현 의원. / 의원실 제공

[세종=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960만 명이 이용 중인 선불식할부거래업(일명 상조업체)에서 최근 5년간 소비자 피해가 1,400억 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행 제도는 선수금의 절반만 보전하도록 되어 있어, 폐업 등 위기 상황에서 소비자 대다수가 실질적 보상을 받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강준현 의원(더불어민주당, 세종시을)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이후 발생한 상조업체 소비자 피해 규모는 총 1,404억 9천만 원에 달한다. 이 기간 가입자는 684만 명에서 960만 명으로 40% 이상 늘었고, 시장 내 선수금 규모도 6조 6,649억 원에서 10조 3,348억 원으로 급증했다.

문제는 폐업이나 등록취소 같은 비상 상황 발생 시, 보장받을 수 있는 금액이 계약금의 절반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실제 2022년 한강라이프㈜ 등록 취소로 7만 3천여 명이 672억 원 피해를 입었고, 같은 해 ㈜한효라이프 폐업으로도 4만 1천여 명이 448억 원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2024년 위드라이프그룹 폐업 당시에도 피해자 수는 2만 5천 명, 피해액은 188억 원에 이르렀다.

상조등 선불거래 시장동향<자료이미지> / 뉴스1
상조등 선불거래 시장동향<자료이미지> / 뉴스1

강준현 의원은 “소비자가 낸 선수금은 대부분 장례·혼례 등 생애 중대사에 대비하기 위한 금액인데, 제도의 허점으로 인해 위기 상황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것은 명백한 정책 실패”라고 지적했다.

이어 “선수금 전액 보전 제도를 도입하고, 사업자 부실 징후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감독 체계를 마련하는 것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라며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해 정부의 규제 강화와 입법 보완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