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통폐합의 갈림길…충남대-공주대 통합, 지역 생태계 혁신의 시험대

2025-09-29 15:15

add remove print link

인구 감소·입학생 축소 압박에 지방대 통합 본격화 흐름
일본의 과학기술 융합 대학 통합 사례에서 시사점 찾기
청년 정착 생태계 구축과 유연한 연계 체계가 관건

충남대-공주대 통합, 지역 생태계 혁신의 시험대. / 뉴스1
충남대-공주대 통합, 지역 생태계 혁신의 시험대. / 뉴스1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한국의 지방대학이 직면한 위기는 단순한 재정난을 넘어 학생 수 감소와 교육 경쟁력 약화라는 시스템적 문제다. 이러한 압박 속에서 충남대학교와 공주대학교의 통합을 핵심으로 한 ‘지방대 혁신모델’이 정부 심사에서 최종 선정되면서, 그 성공 가능성과 위험 요인 모두가 새롭게 주목받는다.

국회 및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학 지원자 수는 2023년 44만여 명에서 2040년에는 26만여 명 수준으로 급감할 전망이다. 이런 추세는 대부분의 지방대학이 생존보다 통합과 전문화 전략을 모색하게 만드는 배경이다. 실제로 목포대와 순천대, 강원대와 강릉–원주대, 충남대와 공주대 등 여러 대학이 통합을 추진 중이다.

일본은 이미 대학 통합과 재조직화를 교육 정책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2024년 도쿄공업대학(Tokyo Tech)과 도쿄의과치과대학(TMDU)은 융합 과학·의학 중심의 ‘Institute of Science Tokyo’(Science Tokyo)를 출범시켰다. 이 새로운 형태 대학은 학문 간 경계를 허물고 지식 융합을 강조하는 전략적 모델로 평가받는다.

충남대-공주대 통합 혁신모델은 이러한 국제 흐름과도 접점을 가진다. 대전시는 이를 ‘초광역 국립대학’ 모델로 보고 있으며, 지산학연 플랫폼 구축, 인공지능 중심 대학 전환, 딥테크 창업 지원 등 실행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대전시는 행정·재정적 지원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성공 여부는 많은 변수에 달려 있다. 우선 구성원 동의와 조직 설계가 관건이다. 통합 시 교직원·학생 간 문화 충돌, 권한 조정, 예산 배분 갈등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국내 연구 논문은 “성공적인 통합은 목표 설정의 명확성과 내부 구성원의 협조가 필수”라고 강조한다.

또한 지역산업과의 연결망이 실제로 작동해야 한다. 단순 대학 통합이 아닌, 지역 기업과 연구소, 지자체가 함께 참여하는 산학연 생태계 구축이 중요하다. 청년이 학교를 떠나지 않고 취업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연한 재정·정책 연계 틀도 요구된다. 중앙 통제형 대학 지원 방식만으론 지역별 특성 반영이 어렵다. 지자체·교육부·대학이 역할을 재분담하면서 예산 지원과 규제 완화가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