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도 시민이 결정"…대전시, 2026년 주민참여예산 사업 49억 규모 확정
2025-09-29 15:32
add remove print link
시민이 제안하고 투표한 사업 33건 선정…“참여로 만드는 지방자치”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시민이 시정을 바꾼다"는 말이 구호를 넘어 실제 행정 과정에 녹아들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 29일 2026년도 주민참여예산 사업을 최종 확정했다. 시민이 제안하고 시민이 뽑은 사업 33건, 총 49억 6,900만 원 규모다.
이날 시청 세미나실에서는 제10기 주민참여예산위원 1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총회가 열렸다. 시민의 손으로 결정된 예산안이 실현되는 자리였다. 이번 결정은 온라인 시민투표(50%)와 주민참여예산위원들의 현장투표(50%)를 합산해 고득점 순으로 선정됐다.
앞서 대전시는 지난 4~5월 시민 제안 공모를 통해 총 185건의 사업을 접수했다. 이후 소관부서의 검토와 주민참여예산 분과위원회 심사를 거쳐 37건이 시민투표에 올랐고, 이 중 33건이 최종 선정됐다.
대전시 기획조정실 한치흠 실장은 “주민참여예산제는 시민이 직접 예산 편성 과정에 참여해 시정 방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제도”라며 “선정된 사업들이 실제로 실행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주민참여예산제는 2011년부터 전국 지자체에서 점차 도입돼 왔으며, 예산 결정권의 일부를 주민에게 위임하는 대표적인 주민자치 제도로 꼽힌다. 특히 최근에는 단순한 의견 수렴을 넘어 시민이 직접 투표에 참여해 예산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지방재정의 민주성을 높이고, 생활밀착형 예산이 실제로 반영되는 점에서 시민들의 호응도 높아지고 있다. 단순히 ‘참여했다’는 만족을 넘어서, 구체적 정책 성과로 이어지기 위한 후속 관리도 중요하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시민이 제안하고 뽑은 사업이 실제 지역 사회에서 어떻게 실현될지, 앞으로 그 성과가 기대된다. 대전시의 주민참여예산 확정 사례는 시민 참여가 추상적 담론이 아닌 구체적 실행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