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강훈식 "전 정부 탓하지 말고 문제 해결하라”
2025-09-29 17:55
add remove print link
“위험요소 전부 파악하고 대응방안 점검” 지시
강 실장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국가 전산시스템 중단이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전은수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에서 밝혔다.
강 비서실장은 국정자원 화재가 재해 발생 시 국가 전산시스템이 전면 중단될 수 있다는 지적이 여러 차례 있었지만 제대로 된 대응 방안을 마련하지 않은 결과라고 했다.
강 실장은 "업무 전반에 대한 점검을 완료하고, 그 결과와 함께 미진한 사항에 대한 대책을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행정안전부 등 소관 부처에는 "국민 불편이 심각한 시스템 복구를 우선 시행하고, 복구 사항을 신속히 보고하라"며 "국민의 평온한 일상을 방해할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사안이라면 위험 요소로 판단하고 전부 파악해 대비하라"고 당부했다.
또 전 부처와 17개 시·도에는 "불가항력적인 사고가 발생하는 다양한 경우에 대비해 신속한 정상화를 위한 대응 방안이나 매뉴얼이 준비돼 있는지 철저히 점검하라"고 주문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오후 4시 기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멈췄던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647개 중 73개가 복구됐다고 밝혔다. 이는 정오 기준 62개보다 11개 더 늘어난 것이다.
추가 복구된 시스템에는 행안부 기록관리교육훈련·강제동원자명부, 복지부 복지로·사회보장정보 자료등록포털·사회보장정보 통합업무·사회서비스 포털, 과기정통부 우편물류 내부포털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화재 피해가 없는 551개 시스템에 대해 먼저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전소된 주요 정보시스템 96개가 대구센터로 이전해 재가동되기까지는 약 4주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돼 전체 서비스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96개 시스템 목록에는 1등급인 통합보훈(국가보훈부), 국민신문고(권익위),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안전디딤돌(행안부)와 노사누리(고용노동부), 대테러센터 홈페이지(국무조정실), 범정부데이터분석시스템(행안부), 정책브리핑(문화체육관광부)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복구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다시 서비스가 시작될 때마다 네이버, 다음을 통해 공지하고, 보도자료를 배포해 안내하기로 했다. 장애 해소 시까지 민원 불편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합동 민원센터(110콜센터), 지역 민원센터(120콜센터 등)와 민원 전담지원반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