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산업부 ‘AI 팩토리 선도사업’ 최종 선정으로 국비 60억 원 확보

2025-10-02 14:58

add remove print link

AI 기반 제조혁신 가속화, 2029년까지 총 106억원 집중 투자

지난 1일 AI 팩토리 맥스 얼라이언스 전략 회의에서 열린 산업통상부와 선정 제조기업 간 협약식에서 관련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대구시 제공
지난 1일 AI 팩토리 맥스 얼라이언스 전략 회의에서 열린 산업통상부와 선정 제조기업 간 협약식에서 관련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대구시 제공

[대구=위키트리]전병수 기자=대구시가 지난 1일 산업통상부가 주관하는 ‘AI 팩토리 선도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60억 원을 확보하며 제조 AX 혁신 핵심 거점으로의 발판을 마련했다.

AI 팩토리 선도사업은 제조 현장에 인공지능(AI) 기반의 인지·판단·제어기술을 접목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산업통상부의 국책사업이다.

지난해 26개 과제로 시작해 올해는 ‘AI 자율제조’에서 ‘AI 팩토리’로 명칭을 개편하고, 2030년까지 제조 AX(AI Transformation) 최강국 도약을 목표로 ‘M.AX 얼라이언스(Manufacturing AX, 일명 맥스)’를 구성해 민·관 협력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선정은 지난해 ‘㈜대성하이텍’이 주관한 ‘인체삽입형 의료기기 자율제조 기술개발사업’(2024~2028, 총사업비 118.7억 원)에 이어 연속 선정된 성과다. 대구시가 지역 제조기업의 AI 전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선정된 총 11개 과제 중 하나인 ‘AI 가속기 초고다층 PCB 자율제조 기술개발사업’은 대구 지역 시가총액 1위의 글로벌기업 ㈜이수페타시스가 주관하고,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과 AI 전문기업들이 참여하는 민·관·연 컨소시엄 형태로 추진된다.

대구시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총사업비 106억 원(국비 60억 원, 시비 18억 원, 민간 28억 원)을 투입해 AI반도체 산업의 핵심부품인 ‘초고다층 PCB(30층 이상 다층 회로기판)’의 자율제조 기술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수페타시스는 이번 사업을 통해 초고다층 PCB 제조공정의 생산성을 20% 이상 높이기 위한 표준 데이터 기반 고장 예측, 공정 불량 예측, 소재별 최적화 공법 자동화 등 ‘AI 자율제어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지난해 의료기기 분야에 이어 올해 고성능 반도체 기반 PCB 분야까지 연속 선정되면서, AI 전환의 대상과 범위를 확장해 지역 제조산업 전반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향후 AI 팩토리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 유망 제조기업 참여 확대 △제조AI 전문인력 양성 △5대 신산업(미래모빌리티, 로봇, 헬스케어, 반도체, ABB)과의 융합·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2030년까지 20개 이상의 유망 제조기업이 AI 전환을 달성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1일 열린 산업통상부와 선정 제조기업 간 협약식에서는 ‘AI 팩토리 선도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성과 확산, 지역 기반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한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제조 현장에 AI를 접목하는 것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미래 생존 전략”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특화산업을 중심으로 선도 사업을 지속 발굴해, 중소 제조기업들이 AI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home 전병수 기자 jan2111@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