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안전한 축제’가 먼저”…대전, 가을축제 58건 안전망 전면 가동
2025-10-07 13:35
add remove print link
이태원 참사 2년…지자체·경찰·소방 총력 대응
가을 축제 재개 속 ‘인파 관리’가 핵심 과제 부상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가을 축제 시즌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전국 각지에서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잊을 수 없는 이태원 참사 이후, 인파 안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은 여전히 높다. 축제의 열기보다 안전의 준비가 먼저라는 인식 속에, 대전시가 지역축제 전반에 걸쳐 ‘안전망’을 전면 가동한다.
대전자치경찰위원회와 대전경찰청은 9월부터 11월까지 예정된 58건의 지역축제에 대해 인파사고 예방 중심의 종합 안전관리 대책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가을철 도심 밀집행사 증가로 인한 대규모 인파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주요 축제로는 ▲서구 아트페스티벌(10월 10~12일, 샘머리공원) ▲국화음악회(10월 18일, 유림공원) ▲대전 빵축제(10월 18~19일, 소제동 일원) ▲동구동락축제(10월 24~26일, 소제동) ▲누들대전축제(11월 7~9일, 엑스포과학공원) 등이 있으며, 일부 행사는 수십만 명의 관람객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자치경찰위와 경찰은 지자체·소방 등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축제 전 전 과정을 점검하고 있다. 특히 행사 전 안전관리계획을 사전에 검토하고, 인파 흐름 예측·교통통제·안전요원 배치의 적정성을 집중 점검한다. 축제 규모와 장소 특성을 분석해 위험 수준에 따라 교통·질서 관리 및 우발상황 대응 인력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개정된 「재난안전법」에 따라 지자체장이 행사 중단이나 해산을 권고할 수 있는 권한이 강화된 점을 고려해, 경찰과 지자체 간의 현장 상황 공유 체계를 상시 유지한다. 대규모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축제의 경우 실시간 인원 모니터링과 경찰 기동대 투입도 검토 중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시민 안전이 최우선 가치라는 점에서, 축제의 성공은 안전 확보에서부터 출발한다”며 “모든 관계기관이 상황 발생 전부터 한 팀으로 움직이는 협업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