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용돈 25만원도 못 받는 고령층... 이젠 국가와 본인 몫에 달렸다

2025-10-08 15:51

add remove print link

노후 지원, 자녀에서 국가로 바뀌는 시기

한국 사회의 고령화가 급격히 심화되는 가운데 부모 세대가 자녀에게 받는 용돈이 사실상 사라지고 있다.

자녀의 도움으로 노후를 보내던 시대의 종말이 다가오며 고령층이 스스로 생계를 책임지는 자립형 노후가 새로운 일반상이 되고 있다.

60세 이상 고령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 뉴스1
60세 이상 고령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 뉴스1

8일 국가통계포털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65세 이상 고령층 가구의 월평균 사적이전소득은 24만 2937원으로, 지난해보다 5.5% 감소했다. 2021년 이후 최저치이자 4년 만에 30만원 아래로 떨어진 수치다.

사적이전소득은 자녀나 친척으로부터 받는 비공식적 지원, 즉 용돈이나 생활비를 의미한다.

1980년대만 해도 60세 이상 가구의 주요 소득원 중 75.6%가 자녀의 지원이었다. 하지만 1995년 56.6%, 2003년 31.4%로 줄었고, 올해는 7.5%에 그쳤다. '부모 부양은 자식의 의무'라는 오랜 인식이 더 이상 사회의 당연한 규범이 아니게 된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의 배경으로 청년층의 고용 불안과 중장년층의 조기 은퇴, 그리고 가족 구조의 해체를 꼽는다. 정부가 생계급여와 의료급여에서 부양의무자 기준을 단계적으로 폐지한 것도 이런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조치다. 이제 고령층의 생계는 자녀의 용돈이 아니라 개인의 근로소득 및 정부의 공적 지원이 중심이 되고 있다.

현재 65세 이상 가구의 공적이전소득은 115만 2526원으로 4.2%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근로소득은 여전히 단기·저임금 일자리 위주에 머물러 있다. ‘황혼의 노동’이 일상이 됐지만 그 대부분이 생계형이라는 지적이 뒤따른다.

여성 고령층의 빈곤 문제도 심각하다. 과거 경제활동 참여율이 낮았던 세대인 만큼 국민연금 수급액이 적고, 이에 따라 생계 불안이 더 크다. 복지 전문가들은 여성 노인을 위한 맞춤형 소득 보장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home 방정훈 기자 bluemoo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