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내고 들어갔는데…10월 29일~11월 9일 '이곳' 전격 무료 개방

2025-10-19 08:00

add remove print link

해당 기간에 4대 궁·종묘·조선왕릉 무료 개방

서울 경복궁이 시민과 외국인들로 붐비고 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연합뉴스
서울 경복궁이 시민과 외국인들로 붐비고 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연합뉴스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무료로 개방되는 곳이 관심을 끌고 있다.

10월 말 열리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행사에 맞춰 서울의 주요 궁궐과 왕릉이 무료로 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개방된다.

17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궁능유적본부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경복궁·창덕궁·덕수궁·창경궁 등 4대 궁과 종묘, 조선왕릉, 세종대왕유적을 무료로 개방한다.

평소 예약제로 운영되던 종묘는 자유롭게 둘러볼 수 있다. 다만 창덕궁 후원 특별관람은 기존대로 유료로 진행된다고 궁능유적본부는 설명했다.

경복궁과 종묘는 화요일인 11월 4일, 창덕궁·창경궁·덕수궁·조선왕릉·세종대왕유적은 월요일인 11월 3일 등 기존 휴관일에는 문을 닫는다.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기간 궁능 유적 기관 무료 개방 안내 이미지. 10월 말 열리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행사에 맞춰 서울의 주요 궁궐과 왕릉이 무료로 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개방된다. 17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궁능유적본부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경복궁·창덕궁·덕수궁·창경궁 등 4대 궁과 종묘, 조선왕릉, 세종대왕유적을 무료로 개방한다.     경복궁과 종묘는 화요일인 11월 4일, 창덕궁·창경궁·덕수궁·조선왕릉·세종대왕유적은 월요일인 11월 3일 등 기존 휴관일에는 문을 닫는다.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제공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기간 궁능 유적 기관 무료 개방 안내 이미지. 10월 말 열리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행사에 맞춰 서울의 주요 궁궐과 왕릉이 무료로 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개방된다. 17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궁능유적본부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경복궁·창덕궁·덕수궁·창경궁 등 4대 궁과 종묘, 조선왕릉, 세종대왕유적을 무료로 개방한다. 경복궁과 종묘는 화요일인 11월 4일, 창덕궁·창경궁·덕수궁·조선왕릉·세종대왕유적은 월요일인 11월 3일 등 기존 휴관일에는 문을 닫는다.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제공

이와 관련해 궁능유적본부 측은 연합뉴스에 "국민 참여를 늘리고 문화 향유권을 증진하기 위해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기간에 관람객이 무료로 입장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궁능유적본부는 추석과 설 등 명절 연휴에 궁궐과 왕릉을 무료 개방해왔다. 10월 3∼9일 추석 연휴에는 총 141만 8357명이 4대 궁과 조선왕릉, 종묘를 방문한 것으로 집계됐다.

궁궐의 경우 경복궁 관람객이 내외국인을 합쳐 51만 134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창경궁(21만 6037명), 창덕궁(20만 9675명), 덕수궁(17만 6505명) 순이었다.

이런 가운데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1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K-컬처에 대한 국내외 인기는 경복궁 연간 관람객을 바티칸 박물관 수준으로 이끌었다"라며 "국가유산 대표 브랜드 가치를 선도하고 한국을 찾는 관광객을 위해 경복궁 안에 (국가유산) 문화상품관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경복궁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궁능유적본부는 추석과 설 등 명절 연휴에 궁궐과 왕릉을 무료 개방해왔다. 10월 3∼9일 추석 연휴에는 총 141만 8357명이 4대 궁과 조선왕릉, 종묘를 방문한 것으로 집계됐다. 궁궐의 경우 경복궁 관람객이 내외국인을 합쳐 51만 1349명으로 가장 많았다. / 뉴스1
서울 경복궁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궁능유적본부는 추석과 설 등 명절 연휴에 궁궐과 왕릉을 무료 개방해왔다. 10월 3∼9일 추석 연휴에는 총 141만 8357명이 4대 궁과 조선왕릉, 종묘를 방문한 것으로 집계됐다. 궁궐의 경우 경복궁 관람객이 내외국인을 합쳐 51만 1349명으로 가장 많았다. / 뉴스1
home 손기영 기자 sk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