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교, 국민의힘 17개 시·도당 전부에 후원금 건네"

2025-10-18 19:17

add remove print link

한학자 등 공소장에 특검팀이 적은 혐의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9월 2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게 통일교 현안을 청탁했다는 의혹과 관련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대기 장소인 서울구치소로 향하고 있다. / 뉴스1(공동취재)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9월 2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게 통일교 현안을 청탁했다는 의혹과 관련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대기 장소인 서울구치소로 향하고 있다. / 뉴스1(공동취재)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통일교가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 의사를 밝히려고 20대 대통령 선거 전후로 국민의힘의 17개 시·도당에 후원금을 건넸다고 결론 내렸다.

한학자 통일교 총재 등에 대한 특검팀의 공소장에 통일교 측이 2022년 3~4월 국민의힘의 17개 시·도당협위원장에게 후원금을 지급하는 방법으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적극적 지지 의사를 밝혔다는 내용이 적혔다고 연합뉴스가 18일 보도했다.

특검팀은 대선 승리로 성립된 윤석열 정권에 교단 현안을 청탁하려 국민의힘 지역 조직 전체를 동시에 후원하면서 단체·법인과 관련된 자금의 기부를 막는 정치자금법을 어긴 것으로 봤다.

특검팀은 전 세계본부장 윤모씨(구속기소)가 대선 전인 2022년 3월 초 산하 5개 지구의 수장들을 불러모아 전방위 후원을 지시한 뒤 2억 1000만원을 선교지원비 명목으로 내려보냈다고 봤다. 이에 지구장들은 4월 초까지 한 달여간 국민의힘 의원들을 만나 지지 의사를 표하는 동시에 개인이 적법하게 기부하는 것처럼 후원금을 쪼개는 방식으로 총 1억 4400만원을 전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검팀은 통일교 정점인 한 총재가 20대 대선에서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라고 수뇌부 인사들에게 지시하면서 이 같은 조직적인 후원 작업이 기획됐다고 봤다. 한 총재 지시에 윤씨가 통일교 간부들과 쪼개기 후원 등 구체적인 방식을 논의해 확정한 뒤 한 총재와 비서실장이었던 정씨에게 다시 보고해 승인받았다는 게 특검팀 판단이다.

통일교 측이 한 총재 뜻에 따라 국가가 운영돼야 한다는 '정교일치' 이념을 실현하려 정권을 지원한 뒤 각종 대외 협력 사업을 비롯한 현안을 청탁했다는 것이다.

아울러 특검팀은 2022년 11월 정치 브로커 '건진법사' 전성배씨로부터 이듬해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서 특정 후보를 돕기 위해 교인들을 입당시켜달라는 요청이 들어오자, 통일교가 조직·재정을 이용해 윤 전 대통령과 주변 정치인들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고 봤다. 다만 한 총재 등에게 개인의 자유의사에 반해 국민의힘 입당을 강요한 혐의(정당법 위반)는 적용하지 않았다.

특검팀은 통일교 측이 2022년 7월쯤 고가 목걸이와 샤넬백을 구입해 전씨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게 건넸고 현안을 청탁한 혐의(청탁금지법 위반)도 공소장에 담았다. 이 과정에 관여해 교단 자금을 유용한 한 총재, 정씨, 윤씨, 그리고 당시 재정국장을 맡았던 윤씨의 배우자 이모씨에게는 통일교 소유의 8293만원을 횡령한 혐의(업무상 횡령)도 적용됐다.

특검팀은 한 총재와 측근들이 '정교유착' 의혹과 무관하게 별도로 5억여원의 교단 재원으로 귀금속을 구입해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용했다고 판단했다. 2022년 5월 정씨로부터 한 총재가 쓸 브로치·귀걸이 등의 대금을 보석상에게 지급하라는 지시를 받은 이씨가 개인 자금을 보낸 뒤 주요 행사와 관련된 비용 지출인 것처럼 자료를 준비해 5억 3400만원을 교단 자금으로 보전받았다는 것이다. 특검팀이 확인한 구매 품목에는 브로치·귀걸이뿐 아니라 남성이 주로 착용하는 장신구인 타이핀도 4점 포함됐다.

특검팀은 한 총재, 정씨, 윤씨 등이 공모해 신도 헌금으로 조성된 '천승기금'의 일부를 회계처리 없이 현금으로 인출하는 방식으로 횡령했다고 봤다. 해외 각지 신도들이 천정궁 등 건축 자금으로 보낸 헌금 일부를 한 총재에게 전달하거나 정모씨의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횡령된 금액이 5억원에 달한다는 게 특검팀 판단이다.

이 외에도 '2027 프로젝트 지원비'도 추가 횡령 사례로 적시됐다. 이씨가 허위 국회 목회자 명단을 만들어 지출 결의서를 꾸며낸 뒤 약 9억원을 조성해 정씨에게 전달했고, 정씨는 이를 사적 용도로 쓴 것으로 조사됐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