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중국 구조물서 잠수복 인력 포착…與 이병진 “군사 목적 가능성”
2025-10-22 11:20
add remove print link
“선란 2호에 인력 상주 가능성”…해양 주권 수호 강조
잠수복·산소통 사용 포착…“일반 조업으로 보기 어려워”
중국이 서해에 설치한 불법 해상 구조물에서 잠수복을 입은 인력이 포착돼 군사적 목적 활용 가능성이 제기됐다.

뉴스1에 따르면 이병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해양경찰청 국정감사를 앞두고 배포한 자료를 통해 중국이 지난해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에 설치한 해상 구조물 ‘선란 2호’에서 인력이 확인됐다고 22일 밝혔다.
이 의원이 공개한 사진에는 구조물 상단에 2명, 중앙 좌측에 2명, 해수면과 맞닿은 계단에 1명 등 총 5명의 인력이 식별됐다. 이 중 한 명은 잠수복을 착용한 채 산소통을 정비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 의원은 통상 해상 양식장에서는 잠수복과 산소통을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며, 현장에서 소수 인원만 탑승하는 고속정으로 보이는 선박도 함께 관측됐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이 시설이 일반적인 양식장으로 보기 어렵고 남중국해 사례처럼 중국이 서해를 내해화하려는 과정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구조물이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될 소지도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선란 2호에 사람이 상주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며 “우리가 적극적으로 맞대응하지 않으면 중국은 절대 철수하지 않는 만큼 해양 주권 수호를 위한 비례 대응의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 의원은 올해 1차·2차 추가경정예산안에서 중국의 서해 불법 구조물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용역비 10억 원과 비례 대응 구조물 설치 비용 605억 원을 각각 건의했으나 국회 농해수위에서 의결된 뒤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 과정에서 모두 삭감됐다고 덧붙였다.
우리 정부는 중국 측에 해당 구조물의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 중국은 이 시설이 양식 목적의 구조물이며 영유권 문제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한국 해양조사선이 현장 조사를 시도하던 중 중국 측 선박이 접근해 대치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