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까지 무려 8억 8000만 달러…불티나게 미국·일본·중국 등에 수출된 '한국 수산물'

2025-10-28 10:00

add remove print link

올해 9월까지 집계된 K푸드 수출 상황

지주식 김 양식장에서 어민들이 김 채취를 하고 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지주식 김 양식장에서 어민들이 김 채취를 하고 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올해 9월까지 K-푸드 수출액이 80억 달러를 돌파하며 같은 기간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특히 한국인들이 즐겨 먹고 좋아해 '국민 수산물'로 불리는 김 수출이 같은 기간 크게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9월 한국 식품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8.9% 증가한 84억 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K-푸드 수출은 2016년(60억 6000만 달러)부터 지난해까지 9년 연속으로 증가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전체 수출액의 61.3%를 차지하는 가공식품이 52억 달러로 6.7% 증가했다. 수산물은 23억 3000만 달러로 11.2% 증가했다. 축산물(2억 8000만 달러, 50.3%), 농산물(6억 6000만 달러, 5.6%), 임산물(2000만 달러, 24.6%) 등도 모두 확대됐다.

세부 품목별로는 라면(11억 3000만 달러, 24.5%)과 김(8억 8000만 달러, 14.0%)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라면과 김 수출액은 약 20억 달러로 전체의 4분의 1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자류(5억 7000만 달러, 2.0%), 커피조제품(2억 8000만 달러, 15.8%), 소스류(3억 1000만 달러, 7.2%), 각종 음료(5억 2000만 달러, 2.6%) 등도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 9월까지 수출이 크게 증가한 김은 한국인들이 좋아해 즐겨 먹는 '국민 수산물'이다.

외국인들도 좋아하는 김은 한국인들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반찬이다. 바다에서 자라는 김은 겨울철에 수확되며 단백질과 무기질, 비타민이 풍부해 영양가가 높다. 특히 밥과 함께 먹는 김밥, 김구이, 김무침 등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어 남녀노소 모두에게 인기가 많다. 바삭한 식감과 고소한 향이 특징이며 최근에는 해외에서도 K푸드로 주목받고 있다. 김은 맛과 건강을 모두 챙길 수 있는 대표적인 한국의 수산물로 오랜 세월 동안 국민 밥상의 든든한 동반자로 자리 잡았다.

외국인들도 좋아하는 대표적인 K푸드인 한국 김 제품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외국인들도 좋아하는 대표적인 K푸드인 한국 김 제품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16억 달러, 18.9%), 중국(15억 달러, 17.7%), 일본(11억 6000만 달러, 13.7%)이 전체 수출의 50.2%를 차지했다. 각국의 수출 증가율은 미국 13.1%, 중국 12.5%, 일본 6.7%로 각각 나타났다.

수출 상위 10개국 가운데 9개국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국이었다. APEC 20개 회원국(한국 제외)으로 수출이 전체의 81.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관세청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흥행과 2025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K-푸드에 관심과 브랜드 인지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K-푸드 수출 기업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home 손기영 기자 sk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