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오늘 시정연설…내년 728조 예산안 방향 직접 설명

2025-11-04 07:43

add remove print link

AI·R&D 중심으로 편성된 첫 본예산
여야에 신속한 처리와 협조 요청 예정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에 나선다.

지난 6월 26일 이재명 대통령이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6회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정부의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 뉴스1
지난 6월 26일 이재명 대통령이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6회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정부의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 뉴스1

대통령실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정부가 제출한 2026년도 예산안의 편성 방향을 설명하고 여야에 신속한 심사와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 이번 연설은 지난 6월 26일 추가경정예산(추경)안 발표 이후 약 4개월 만이자 취임 후 두 번째 시정연설이다.

내년도 예산안은 총 728조 원 규모로 올해 본예산보다 54조 7000억 원(8.1%) 늘었다. 역대 최대 수준이다. 정부는 이 가운데 인공지능(AI)과 연구·개발(R&D) 등 미래산업 육성 분야에 약 72조 원을 배정해 ‘기술 주도 초혁신 경제’를 핵심 기조로 내세웠다. 지방 성장 거점 구축(29조 2000억 원)과 포용 성장(175조 원) 예산도 함께 포함됐다.

앞서 이 대통령은 예산안을 의결했던 지난 8월 29일 국무회의에서 “경제 혁신과 수출의존 개선을 두 축으로 삼겠다”며 “이번 예산은 두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 회복과 성장을 끌어낼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도 같은 기조를 이어가며 ‘경제 대혁신’과 ‘AI 중심 성장 전략’을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대통령은 최근 블랙록 래리 핑크 회장, 오픈AI 샘 올트먼 CEO, 엔비디아 젠슨 황 CEO 등과의 연쇄 회동을 통해 AI 인프라 및 인재 협력 기반을 다졌던 외교 성과를 언급하며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의지를 강조할 전망이다.

지난 6월 26일 이재명 대통령이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추가경정예산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 대통령실 제공, 뉴스1
지난 6월 26일 이재명 대통령이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추가경정예산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 대통령실 제공, 뉴스1

여당은 새 정부의 첫 본예산인 만큼 “재정 여건이 녹록지 않더라도 미래 산업 투자만큼은 실기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야당은 “109조 원 규모의 적자 국채를 포함한 빚잔치 예산”이라며 포퓰리즘적 성격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지역사랑상품권 예산과 국민성장펀드 1조 원 마중물 편성에 대해서도 “효과 검증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내놓고 있다.

이번 예산안은 12월 2일까지 법정 처리 시한이 남아 있으나 여야의 의견 차가 커 향후 심사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는 5일 예산안 공청회, 6일 종합정책질의를 열고 본격적인 심사에 들어간다.

이 대통령은 지난주 아세안(ASEAN)·APEC 정상회의 등 ‘슈퍼 외교주간’을 마무리한 뒤 이번 시정연설을 통해 민생·경제 중심 행보에 다시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설은 새 정부의 첫 본예산 방향을 공식적으로 밝히는 자리로 향후 국정운영의 주요 정책 방향을 가늠할 계기가 될 전망이다.

지난 3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JSA 판문점 회담장을 방문해 대화하고 있다. / 국방부 제공. 뉴스1
지난 3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JSA 판문점 회담장을 방문해 대화하고 있다. / 국방부 제공. 뉴스1

◈ 첫 예산안 설명 뒤, 용산서 美 국방부 장관 만나

이 대통령은 오늘 시정연설에 이어 용산 대통령실에서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을 접견한다. 이번 만남에서는 우리나라의 핵 추진 잠수함 건조와 관련한 구체적인 논의가 오갈 것으로 보인다.

핵 추진 잠수함은 이날 열리는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도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다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핵연료 확보 방식이 핵심 쟁점으로 꼽히며, 한국이 직접 군사용으로 20% 미만의 저농축 우라늄을 사용하는 방안을 미국이 어느 수준까지 허용할지가 변수다.

트럼프 대통령이 건조 장소로 지목한 ‘필리 조선소’도 걸림돌로 거론된다. 군 관계자는 “핵잠수함을 미국 내 일반 조선소에서 건조하는 것은 기밀 유지 측면에서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핵 추진 잠수함 외에도 이번 회담에서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주한미군기지 재배치, 동맹 현대화 등 한미 간 주요 안보 현안이 함께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home 정혁진 기자 hyjin27@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