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파이코인, 네트워크는 폭발 성장했지만 가격은 급락하는 모순... 반등 요인 있을까

2025-11-04 17:06

add remove print link

하락세 극복할 가능성 있는 파이 네트워크의 강점은?

파이 네트워크(Pi Network)가 올해 4분기에 시장 흐름을 상회하는 네트워크 성장세를 기록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지만 가격은 조정을 받고 있다.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한 참고 이미지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한 참고 이미지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4일(한국 시각) 오후 5시 기준 파이코인(Pi Coin, PI) 가격은 전일 대비 5.80% 하락하며 0.2255달러대에서 거래 중이다.

가격은 23.6% 피보나치 되돌림 구간인 0.2600달러 지지선을 지키지 못했고, 동시에 7일 단순이동평균선(SMA)인 0.2480달러 아래로 내려섰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거래소 내 파이코인 보유량은 전주 대비 1300만 개 늘어난 4억 2300만 개로 집계됐다. 이는 매도 압력이 커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단기적인 약세에도 불구하고 파이 네트워크 팀은 기술 업그레이드와 신규 기능 도입을 앞두고 있다.

곧 진행될 V23 메인넷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스마트 콘트랙트(Smart Contracts) 통합, 그리고 탈중앙화 거래소 파이 덱스(Pi DEX) 출시가 예고됐다. 개발 로드맵에는 파이 블록체인 상에서 자체 토큰을 발행할 수 있는 툴도 포함돼 있어 완전한 생태계 구축이 추진 중이다.

이러한 업데이트가 모두 완료될 경우 파이 네트워크는 모바일 기반 탈중앙 금융(모바일-퍼스트 디파이) 분야에서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 파이 네트워크는 2021년 12월 시작된 '폐쇄형 메인넷(Enclosed Mainnet)' 단계에 머물러 있다. 핵심 인프라 구축은 100% 완료됐으나, 일반 사용자에게 개방되는 '오픈 메인넷(Open Mainnet)' 출시는 아직 지연되고 있다.

네트워크는 스텔라 합의 프로토콜(Stellar Consensus Protocol)을 수정한 버전으로 운영되며 블록 생성 주기는 5초로 설정돼 있다.

또한 비잔틴 장애 허용(Byzantine Fault Tolerance) 구조를 채택해 속도와 에너지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기술적 기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오랜 지연이 프로젝트의 준비도와 규제 대응 측면에 의문을 남긴다고 분석했다.

파이 네트워크의 스마트 콘트랙트 시스템은 테스트넷 단계에 있으며 진행률은 66%로 보고됐다. 러스트(Rust)와 웹어셈블리(WebAssembly) 기반으로 속도와 보안을 중점적으로 설계했다. 현재 약 47개의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이 개발 중이며 20만 개의 활성 노드와 4700만 명의 등록 사용자가 활동 중이다.

진행 중인 파이 덱스 개발은 절반가량 완성 단계에 도달했으며 자동화된 마켓메이커(AMM)와 유동성 풀 구조를 갖출 예정이다.

개발진은 해당 DEX가 오픈 트레이딩이 허용되는 즉시 파이 네트워크의 디파이 기능을 실질적으로 구현할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본다.

파이 네트워크의 강점은 여전히 사용자 성장세에 있다. 전체 등록 사용자는 4700만 명, 일일 거래는 15만 건 수준이다. 지갑 시스템 완성도는 90%에 달하며 거래 수수료가 낮고 모바일 결제가 가능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이용자의 대부분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집중돼 있어 해당 지역의 규제 변화에 대한 노출 위험이 존재한다.

시장 심리는 엇갈리고 있다. 일부는 신규 기능 도입과 함께 파이코인이 0.30달러 이상 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메인넷 개방 지연과 거래소 상장 불확실성을 이유로 추가 하락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메인넷 공개, 스마트 콘트랙트 활성화, DEX 출시가 로드맵대로 이뤄질 경우 파이코인이 올해 안에 3달러의 전고점을 다시 시험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 암호화폐는 매우 변동성이 높은 투자 상품입니다. 자칫 큰 손실을 볼 수 있기에 투자에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home 방정훈 기자 bluemoo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