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신 안 간다” 폭로에 또 흔들린 광장시장…‘노점 실명제’ 도입 추진

2025-11-06 10:16

add remove print link

노점 실명제·결제 투명화 추진

서울 종로구 광장전통시장이 달라지고 있다. ‘바가지 논란’으로 실추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구가 연내 ‘노점 실명제’ 도입을 추진하며 상거래 질서 회복에 나선다.

광장전통시장 전경 / 종로구 제공
광장전통시장 전경 / 종로구 제공

종로구는 광장시장 내 노점 가판대 실태조사와 전문가 자문, 상인회 협의를 거쳐 올해 안으로 노점 실명제를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도로법 제61조를 근거로 점용 허가를 부여하고, 점용 면적과 기간을 명확히 규정해 운영 투명성을 높일 예정이다.

◈ 광장시장, 다시 불거진 ‘바가지 논란’

이번 조치는 일부 노점의 과요금 논란 이후 무너진 신뢰를 되찾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구독자 149만 명을 보유한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가 광장시장에서 겪은 ‘바가지 요금’과 불친절 사례를 폭로하며 논란이 재점화됐다. 이 유튜버는 “가격표에 8000원이라 적힌 순대를 시켰는데 상인이 ‘고기랑 섞었잖아’라며 1만 원을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또 “외국인 관광객에게 이유 없이 언성을 높이거나, 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모습도 봤다”며 “한국을 찾은 관광객들이 당황해하는 장면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란 제목으로 '이상한 과자가게'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영상. / 유튜브, '이상한 과자가게  weird sweets shop' 캡처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란 제목으로 '이상한 과자가게'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영상. / 유튜브, '이상한 과자가게 weird sweets shop' 캡처

해당 영상은 공개 하루 만에 조회 수 200만 회를 넘기며 큰 파장을 일으켰다. 누리꾼들은 “시장 스스로 신뢰를 무너뜨리고 있다”, “외국인들에게 부끄러운 일” 등의 반응을 보이며 비판을 쏟아냈다.

광장시장은 2023년에도 비슷한 논란으로 상인회가 ‘반성 결의대회’를 열고 정량 표시제와 카드 결제 허용 등을 약속했지만, 여전히 일부 점포에서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종로구, ‘노점 실명제’로 상거래 질서 회복 나선다

종로구는 상인회와 서울시 등과 협력해 시장 질서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초부터는 민관 대책회의를 정례화해 과요금 근절 방안과 서비스 교육 강화를 논의하고, 상인회의 자율적인 개선 노력을 행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변화도 진행 중이다. 구는 먹거리 노점 88곳에 ‘다국어 QR 메뉴시스템’을 도입해 메뉴와 사진, 가격 정보를 20개 언어로 제공하고 있다. 또 내외국인 66명으로 구성된 ‘미스터리쇼퍼 모니터링단’을 운영해 과요금, 강매, 위생, 결제, 친절도 등을 점검하고 200여 회 넘는 모니터링을 통해 드러난 문제는 즉시 개선했다.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 / 뉴스1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 / 뉴스1

결제 환경도 한층 투명해졌다. 상인회와 함께 추진한 신용카드 결제서비스 가맹 사업을 통해 사업자 등록이 어려운 노점 77곳이 카드 결제 대행 시스템을 도입했다. 현금 위주의 거래 관행이 줄면서 소비자들이 보다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결제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상인회도 자정 활동에 힘을 보태고 있다. 가격표시제 정착, 위생 관리, 친절 응대 등을 중심으로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위반 시 경고부터 영업정지까지 단계적 제재를 적용한다. 이달 19일에는 구와 함께 환경미화 활동을 벌여 청결한 시장 환경 조성에도 나설 계획이다.

정문헌 종로구청장은 “광장전통시장은 오랜 세월 시민과 관광객이 사랑해 온 대표 전통시장”이라며 “노점 실명제 도입과 상거래 질서 개선을 통해 신뢰를 높이고, 공정하고 품격 있는 시장 문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home 정혁진 기자 hyjin27@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