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차 운전자도 헷갈려” 도로 위 희한하게 생긴 '표지판', 이게 뭐지…

2025-11-06 10:49

add remove print link

유턴 금지 표지판과 함께 있는 경우도 있어

도로에 있는 P턴 표지판(왼쪽) 모습. 오른쪽은 유턴 금지 표지판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해 AI를 화용해 제작한 자료 사진입니다. 실제 모습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도로에 있는 P턴 표지판(왼쪽) 모습. 오른쪽은 유턴 금지 표지판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해 AI를 화용해 제작한 자료 사진입니다. 실제 모습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도로에 있는 'P턴 표지판'을 낯설어 하는 운전자도 있다. "5년 차 운전자인데 헷갈린다"라는 말이 일부 나오기도 한다. 운전자들은 안전운전을 위해 이 표지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아는 게 중요하다.

도로에 설치된 P턴 표지판은 운전자에게 특정한 회전 방법을 안내하기 위해 만들어진 교통 표지로 최근 도시 도로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점차 자주 볼 수 있게 됐다.

다소 낯선 'P턴 표지판' 의미

기본적으로 P턴은 기존의 U턴(유턴)과는 다른 개념으로, 교차로에서 바로 유턴을 하는 것이 금지된 구간에서 좌회전 후 다시 방향을 전환하여 유턴과 유사한 효과를 내는 회전 방식을 의미한다. 즉 교차로를 통과한 뒤 적절한 지점에서 방향을 바꾸는 구조적 회전 절차를 안내하는 표지판이다. 이 표지판은 운전자가 교차로 내에서 직접 유턴을 시도하다가 교통을 방해하거나 사고를 유발하는 일을 예방하는 목적을 가진다.

보통 P턴 표지판은 파란색 원 안에 하얀색 화살표 모양이 그려져 있으며 이 화살표는 '좌회전 후 다시 우측으로 방향을 바꿔 되돌아가는 경로'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이 표지판이 설치된 구간에서는 '유턴 금지' 표지판도 함께 설치된 경우가 있어 운전자가 헷갈리지 않도록 명확히 구분된다. 즉 P턴 표지판은 이 지점에서는 바로 유턴을 할 수 없고 교차로를 먼저 좌회전한 뒤 지정된 지점에서 방향을 바꾸라는 의미를 전달한다.

이런 안내를 통해 교통 흐름을 분산시키고 도심의 복잡한 교차로나 교통량이 많은 구간에서도 안전하게 차량이 회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입니다. 해당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 / 뉴스1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입니다. 해당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 / 뉴스1

P턴이라는 이름은 실제로 Parking의 P가 아니라, 경로(Path)의 P 또는 형태(모양)의 P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차량의 이동 경로가 알파벳 P 모양을 닮았다는 점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차량이 좌회전 후 일정 거리 직진하고 다시 우회전이나 유턴을 해 원래 진행 방향으로 되돌아오게 되면 그 경로가 알파벳 P를 닮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 구조는 교차로 내 사고 가능성을 줄이고 중앙선 침범이나 불법 유턴으로 인한 위험을 크게 낮춘다는 장점이 있다.

교차로 내 사고 가능성 줄이는 효과 있어

P턴은 신호 체계와 연동돼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시스템적 회전 방식으로도 평가된다. 교차로 내에서 직접 유턴을 할 경우 신호 대기 중인 차량이나 직진 차량과의 충돌 위험이 높지만 P턴 구간은 별도로 설계돼 있어 신호에 따라 좌회전 후 안전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는 도심의 교통 정체를 완화하고 교통사고 발생률을 줄이는 데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 특히 왕복 6차선 이상인 도로에서는 유턴 시 공간이 부족하거나 중앙분리대가 길게 이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P턴을 통해 효율적인 교통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

정리하면 P턴 표지판은 단순한 회전 지시 표지가 아니라 교통 효율성과 안전을 모두 고려한 도로 설계의 결과물이다. 운전자는 표지판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무리하게 유턴을 시도하지 않아야 하며 안내된 경로를 따라 좌회전 후 안전하게 회전해야 한다.

이런 표지판의 도입은 복잡한 교차로 구조 속에서도 질서 있는 교통 흐름을 유지하게 하며 결과적으로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의 안전을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home 손기영 기자 sk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