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부산도시공사, “지난날 비리”…진정한 쇄신은 가능한가”
2025-11-07 12:45
add remove print link
- “자정 능력 상실한 공기업, 신뢰는 누가 회복하나”
- “형식뿐인 쇄신, 이제는 진짜 바꿔야 할 때”

[전국=위키트리 최학봉 선임기자] 부산도시공사가 2025년 8월 실시된 '채용실태 특정감사'에서 서류전형 심사표 관리가 부주의했던 사례가 불거졌다. 과거의 잘못이 현재까지 반복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문제는 단순한 개인 일탈이 아닌 조직 문화와 구조의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기억을 더듬어보면, 부산도시공사의 입찰 및 분양 과정에서 특정 업체에 특혜를 주고, 내부 정보를 유출해 입찰 공정성을 훼손한 혐의로 수사가 진행된 적이 있다. 당시 경찰은 도시공사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며 강제 수사에 착수했고, 일부 직원은 직무유기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
또한 동부산관광단지 개발사업을 둘러싼 고위 간부의 뇌물 수수 의혹은 지역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전직 간부가 사업자들로부터 억대 금품을 수수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공공 개발 사업의 투명성과 정당성에 깊은 의문이 제기되었다.
문제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과거 공공기관 채용 비리 논란이 불거졌을 당시, 부산시가 보여준 태도도 논란이었다. 감사가 진행되었음에도 관련자 징계는 지지부진했고, 실질적인 개선 조치 없이 사건을 무마하려는 듯한 모습은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을 불렀다. 언론은 이를 두고 "부산시의 소극적 대응이 부패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부산도시공사는 이에 대해 "내부 규정 강화 및 감사 체계 개선" 등을 통해 재발 방지 의지를 밝혔지만, 이번 감사 결과에서조차 이러한 약속들이 형식적인 선언에 그쳤다는 지적이 나왔다. 말뿐인 쇄신, 시민들은 더 이상 믿지 않는다.
부산도시공사는 공공성을 지닌 기관이다. 공공기관의 투명성과 청렴성은 단순한 '이미지' 문제가 아니라,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조직의 최소한의 책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뼈를 깎는 자정 노력과 함께, 외부 감시 기능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개혁에 나서야 한다.
반복되는 지적은 그 자체로 조직의 위기다. 부산도시공사는 더 이상 지난날 비리의 온상이란 오명에서 벋어나야 한다. 그리고 잘못을 인정하고 진정한 쇄신에 나설 때다. 지금이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