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수능 시간표, 끝나는 시간 언제?
2025-11-12 20:59
add remove print link
수능, 단 하루의 치열한 전투가 시작된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11월 13일 하루 동안 치러진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이날 수능을 치르며 전 교시를 모두 응시하는 수험생은 ‘오전 8시 40분 시작 → 오후 5시 45분 종료’ 스케줄에 임하게 된다. 사실상 오후 6시 가까이 시험이 끝난다.
이번에 수능을 치르는 일반 수험생 시험은 오전 8시 10분까지 모든 수험생이 입실을 완료해야 시작된다. 1교시는 국어 영역으로, 오전 8시 40분에 시작해 10시까지 80분간 치러진다. 시험 전에는 감독관이 유의사항을 안내하고, 수험생은 답안지에 성명과 수험번호를 기재한 뒤 문제지 문형과 페이지 수를 확인하고 필적확인문구를 적는다. 시험이 끝난 뒤에는 20분간 휴식 시간이 주어진다.
2교시는 수학 영역으로, 10시 30분부터 12시 10분까지 100분 동안 진행된다. 수험생은 10시 20분부터 예비령이 울리면 준비를 시작하며, 감독관은 응시원서와 신분을 대조하고 결시자 확인을 마친다. 시험 종료 후에는 50분간 점심시간이 주어진다.
3교시는 영어 영역으로, 오후 1시 10분부터 2시 20분까지 70분간 진행된다. 시험 시작 전 1시 7분부터 3분간 음질 테스트와 듣기평가 안내 방송이 나오며, 타종 없이 방송 신호에 따라 시험이 시작된다. 듣기평가는 25분 이내에 끝나며, 나머지 시간은 독해 문항 풀이로 이어진다.
4교시는 한국사와 탐구 영역 시험으로 구성된다. 한국사 영역은 오후 2시 50분부터 3시 20분까지 30분간 치러지며, 문제지 문형 확인과 필적확인문구 작성 후 시작된다. 시험 종료 후 감독관이 문·답지를 회수하며, 탐구 영역 미선택자는 대기실로 이동한다.
이어지는 탐구(사회·과학·직업) 영역은 오후 3시 35분부터 4시 37분까지 62분간 진행된다. 수험생은 선택 과목에 따라 문제지를 받고, 각 과목별로 시험이 별도로 운영되며, 문제지 회수 시간은 과목당 2분이다.
마지막 5교시는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오후 5시 5분에 시작해 5시 45분에 종료된다. 수험생은 4교시 종료 후 18분간의 짧은 휴식 후 4시 55분부터 준비를 시작하며, 감독관은 응시원서와 본인을 대조하고 결시 여부를 확인한다.

수험생이 궁금해할 질문 6가지

Q1. 일반 수험생 기준, 정확히 몇 시에 끝나나?
A1. 5교시 제2외국어/한문까지 응시하면 17:45 종료다. 전 교시 모두 치르면 오후 6시 근접에 귀가한다.
Q2. 입실은 몇 시까지? 1교시만 엄격한가?
A2. 08:10까지 전원 입실 완료가 원칙이다. 이후 교시도 감독관 통제에 따라 교시별 입실·퇴실이 구분되므로 예비령·본령 시간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Q3. 영어 듣기는 어떻게 시작하나?
A3. 13:07부터 음질 점검·안내가 3분간 방송되고, 타종 없이 방송 신호에 맞춰 자동 시작된다. 방송 지연이나 소음 변수가 있어도 감독관 지시에 따라야 한다.
Q4. 한국사 응시 후 바로 탐구 보나?
A4. 한국사(14:50~15:20) 종료 후 문·답지 회수, 탐구 미선택자는 대기실 이동. 탐구는 15:35분 시작이며 과목별로 문제지가 다르고 회수 시간도 과목당 2분이다.
Q5. 점심시간은 몇 분? 뭐부터 챙겨야 하나?
A5. 2교시 종료 후 50분. 교실 내 자리에서 식사·휴식하면 된다. 소화 잘 되는 식단, 보온병의 미지근한 물, 당 보충 간식 등을 사전에 준비하면 유리하다.
Q6. 5교시(제2외국어/한문)는 반드시 봐야 하나?
A6. 대학별 전형·반영 과목에 따라 다르다. 미선택자는 응시하지 않으며, 4교시 종료 후 대기 절차를 따른다. 지원 대학 요강을 사전 확인해야 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안내한 '수험생 필수 확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수험생은 시험 당일(2025.11.13.(목)) 오전 8시 10분까지 지정된 시험실에 입실
나. 수험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 지참
다. 시험장에서는 점심 식사 및 음용수는 제공되지 않으며 시험실에는 시계가 없으므로휴대가능한 시계를 사전 준비
라. 본인의 선택 영역 및 선택과목의 문제지인지 확인 후 시험 응시
※ 다만, 국어, 수학 영역은 제공받은 문제지 전체를 올려놓고 응시하되, 본인의 선택과목, 예를 들어 국어 영역에서는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수학 영역에서는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과목 중 본인이 선택한 과목의 문제지인지 확인하고 응시해야 함.
마. 문제지 문형 확인 및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매 교시 종료 후 문제지는 회수하며 별도 보관함.
바. 시험 중 돌발상황 등 발생 시, 수험생들은 감독관의 지시에 따라 침착하게 대응 요망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규정한 '부정행위'는 다음과 같다. [대학수학능력시험 관리규정 제21조(교육부 훈령 제490호)]
1) 다른 수험생의 답안지를 보거나 본인의 답안지를 보여주는 행위
2) 다른 수험생과 손동작, 소리 등으로 서로 신호를 하는 행위
3) 부정한 휴대물을 보거나 무선기기 등을 이용하는 행위
4) 대리시험을 의뢰하거나 대리로 시험에 응시한 행위
5) 다른 수험생에게 답을 보여주기를 강요하거나 위협하는 행위
6) 응시 과목의 시험 종료령이 울린 후에도 계속해서 종료된 과목의 답안을 작성하거나 수정하는 행위
7) 4교시 탐구 영역의 경우 선택과목 시간별로 해당 선택과목이 아닌 본인의 다른 선택과목의 문제지를 보거나 동시에 본인이 선택한 2과목의 문제지를 보는 행위
8) 시험 감독관의 본인 확인 및 소지품 검색 요구에 따르지 않는 행위
9) 시험장 반입 금지물품을 반입하고 1교시 시작 전에 제출하지 않는 행위
10) 시험시간 동안 휴대 가능 물품 외 물품에 대해 감독관의 조치에 응하지 않거나 안내와 달리 임의의 장소에 보관한 행위
11) 그 밖에 시험감독관이 부정행위로 판단하는 행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