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세계수영선수권 원본 문서와 조작의혹 문서"
2013-07-22 11:53
add remove print link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체육국장이 22일 서울 종로구 와룡동 청사에서 '광주세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체육국장이 22일 서울 종로구 와룡동 청사에서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정부보증서 조작 관련 문체부 입장'이라는 브리핑을 갖고 "광주광역시에 대해 대회와 관련한 재정지원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광주시의 2019년 세계수영선수권 유치 및 유치 과정에서의 정부보증서 조작 의혹과 관련한 공식입장을 발표했다. 원본 문서와 조작 의혹을 받고 있는 문서 또한 함께 공개됐다.
문제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유치위원회(대회유치위)의 정부보증서 조작 행위에 대한 수사를 의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문체부가 공개한 정부보증서 원본과 조작 의혹을 받고 있는 광주시가 세계수영연맹측에 제출한 문서다.

[왼쪽이 정부가 승인한 원본, 오른쪽이 광주시가 세계수영연맹측에 제출한 문서다.]

[왼쪽이 정부가 승인한 원본, 오른쪽이 광주시가 세계수영연맹측에 제출한 문서다. / 이하 이미지=문체부]
아래는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정부보증서 조작 관련 문화체육관광부 입장' 보도자료 전문이다.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정부보증서 조작 관련 문화체육관광부 입장
-정부보증서 조작 행위에 대해“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유치위”수사 의뢰
-스포츠의“공정성”가치를 심각하게 훼손한 행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 이하 문체부)는 7월 22일(월)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의 광주 유치 및 유치 과정에서의 정부보증서 조작 관련한 문체부 입장을 발표하였다.
문체부는 2013년 2월 말 “세계수영선수권대회유치위원회”(이하 대회유치위)에 국무총리와 문체부장관의 정부보증서를 발급하였으며, 대회유치위는 2013. 4. 2 국제수영연맹에 유치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조작된 정부보증서를 첨부하였다. 이후 국제수영연맹 실사단 방한 시 총리 면담(2013. 5. 1)을 앞두고 관련 자료를 검토하면서 조작된 정부보증서가 발견되었고(2013. 4. 26), 문체부는 즉시 대회유치위에 조작된 정부보증서를 원래 정부보증서로 교체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당시 문체부는 대회유치위가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의 서명을 도용해 정부가 발행한 보증서와는 완전히 다른 별개의 문서를 새롭게 작성하여 국제수영연맹에 제출한 행위는 매우 중대한 범죄행위이며 대회유치위에 대한 사법 당국 고발조치와 동 대회에 대한 재정 지원 불가라는 문체부의 공식적인 입장을 통보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대회유치위는 대회유치와 문서조작 건을 분리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며 문체부는 향후 전개되는 유치활동은 물론 유치 이후에도 지원 불가의 전제하에 대회유치위의 요청을 받아들여 대회 유치가 결정된 이후에 동 사건을 처리하기로 결정하였다.
동 사건이 실무직원의 단순한 실수에 불과하고 문체부가 지적한 이후에 이를 바로잡아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시각에 대해 이는 사법 당국의 수사과정을 통해 밝혀져야 할 사안이라고 문체부는 밝혔다.
문체부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지방자치단체의 과도한 국제스포츠대회 유치를 미연에 방지하고, 개최에 따르는 불필요한 기회비용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관계법령의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붙임 : 추진 경과 및 정부보증서 원본·조작본 각 1부. 끝.
한편 광주시는 지난 20일 '광주시 입장'을 통해 조작 의혹에 대해 해명했다.
광주시는 "4월 2일 FINA에 제출한 유치신청서 초안(PDF)파일에 대구 육상대회 선례를 참조해 추가 '가필'한 내용이 담겼다"며 "유치신청서 초안에 첨부된 정부 보증서가 2월 김황식 총리가 서명한 내용과 다르다고 총리실이 4월말 지적해 자체조사 결과, 실무자의 실수임을 확인하고 담당자를 엄중 경고하고 정부에 사과했다"고 밝혔다.
이어 "실무자들의 과욕으로 총리 사인 원본에 일부 문장이 첨가된 것은 대단히 잘못된 것"이라며 "하지만 정부나 정홍원 국무총리도 이를 즉시 시정한 뒤 원본으로 바꿨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5월 1일 FINA 실사단 면담에서도 정부의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