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 학군단 한자자격시험 대규모 부정행위 적발

2015-05-07 11:00

add remove print link

[6일 오후 금정경찰서 수사팀은 부산지역 대학교 학군단 한자자격시험에서 시험주관업체와 학군

[6일 오후 금정경찰서 수사팀은 부산지역 대학교 학군단 한자자격시험에서 시험주관업체와 학군단이 개입한 조직적인 부정행위 증거자료(카카오톡 대화내용)를 공개했다 / 뉴스1]

(부산=뉴스1) 이원경 기자 = 부산지역 대학교 학군단(ROTC)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국가 공인 2급 한자자격시험이 주관업체와 학군단 간부의 조직적인 부정행위 속에 치러진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 금정경찰서는 부산지역 대학교 학군단 4곳에서 치러진 한자급수자격검정(공인2급)에서 부정행위를 조장·묵인하고 출판사에서 거액을 받은 혐의(업무방해 등)로 국가공인 시험주관업체 본부장 A(54)씨를 구속했다고 6일 밝혔다.

경찰은 또 이 같은 부정행위에 가담한 예상문제집 출판사 대표와 시험감독관, 학군단 후보생 61명, 응시학생 3명 등 66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해 4월11일부터 12월8일까지 대학별로 2차례 치러진 한자급수자격시험에서 학군 후보생들이 주도한 '스마트폰 문제지 촬영·전송', '카톡 답방을 통한 부정행위' 등을 묵인한 혐의다.

A씨는 각 학군단을 통해 응시료를 받으면서 특정 출판사의 예상문제집을 판매하고 책값의 절반인 권당 6500원을 돌려받는 수법으로 5년간 리베이트로 3억원을 챙긴 혐의도 받고 있다.

또 자신이 속한 시험주관업체로부터 1인당 응시료 2만1000원 가운데 9600원을 경비 명목으로 받으면서 9년간 9억6000만원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교 학군단에서 치러진 시험장은 시험주관업체와 학군 후보생의 지원아래 그야말로 부정행위 '난장판'이 됐다.

응시자가 스마트폰에 설치한 무음 카메라 앱으로 문제지를 찍어 전송하면 외부에 있는 학군단과 한문학과 학생들이 단체 카톡방에 정답을 올려주는 식이었다.

또 응시자 일부가 다른 교실에 모여 문제를 풀고 정답을 카톡방에 게시하면 응시자들이 이를 보고 답안을 작성하기도 했다.

A씨는 '적정 합격률'를 맞추려고 다른 사람 명의를 도용, 응시하지 않은 인원을 지원한 것처럼 꾸며 시험 인원을 부풀리고 나서 불합격 처리하기도 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A씨는 이처럼 ROTC가 주도한 한자자격시험에 응시하면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공인 2급 한자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는 분위기를 조성, 응시자들을 유인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지난해 이들 대학 학군단 특별검정에서 시험을 본 1216명 가운데 842명이 합격, 70%의 높은 합격률을 기록했다.

경찰 관계자는 "한자자격이 있으면 장교 승진과 전역 후 취업에 가산점이 붙어 응시생들이 유혹을 이기지 못한 것 같다"면서 "교육부에 민간자격 공인업체 지정과 갱신 요건을 강화해 줄 것을 건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home 뉴스1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