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유튜브 이스터에그 8가지

2015-12-09 10:44

add remove print link

이스터에그(Easter Egg)는 개발자가 숨겨놓은 메시지나 기능을 뜻한다. 부활절 날 재

이스터에그(Easter Egg)는 개발자가 숨겨놓은 메시지나 기능을 뜻한다. 부활절 날 재미로 삶은 달걀에 생달걀을 섞어 깜짝 놀라게 하는 것에서 유래했다.

우리가 흔히 이용하는 유튜브에도 이러한 이스터에그가 여러 개 있다. 재미있는 유튜브의 이스터에그를 모아봤다.

1. USE THE FORCE LUKE

이하 위키트리

이 이스터에그는 영화 '스타워즈'의 명대사에서 나왔다. 검색창에 'use the force luke'(루크, 포스를 사용해)라고 치면 화면이 울렁거린다. 이 상태에서 마우스를 움직이면 재생목록을 마음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2. Do the Harlem Shake

이 이스터에그는 혼자서 춤을 추다가 누군가 'Do the Harlem Shake'라고 말하면 갑자기 모든 사람들이 막춤을 추는 영상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검색창에 'Do the Harlem Shake'(흔들어)라고 치면 유튜브 로고가 음악에 맞춰 춤을 추기 시작한다. 이어 10여 초 정도가 지나면 재생목록이 유튜브 로고와 함께 마구 춤을 춘다.

3. DOGE MEME

검색창에서 'DOGE MEME'(도기 밈)을 검색하면 도기 영상 목록이 나오면서 폰트가 여러가지 색으로 바뀐다. 도기는 해외에서 짤방으로 유명한 개다.

4. FIBONACCI

유튜브, WebSonic

검색창에 'fibonacci'(피보나치)를 치면 영상이 피보나치 수열에 따라 배열되는 이스터에그다. 아쉽게도 현재는 작동되지 않는다.

5. ROBOTS. TXT

유튜브

유튜브 주소 뒤에 'robots.txt'를 붙이면 웹페이지가 하나 뜬다. 이는 엄밀히 말하면 이스터에그는 아니다. 로봇이 무분별하게 수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봇 배제 표준'이다. 여기에는 재밌는 문구가 있는데 "이 'robots.txt'는 90년대 중반 로봇이 반란을 일으켜 전인류를 휩쓴 뒤 2000년에 만들어졌다"고 적혀있다.

6. 1980 미사일 게임

유튜브, StealthTiger

영상을 재생한 뒤 키보드를 이용해 차례로 '1980'이라고 치면 미사일 게임이 시작되는 이스터에그다. 이는 유튜브가 2013년 '유튜브 괴짜 위크'(YouTube Geek Week)를 위해 마련한 이벤트로 현재는 되지 않는다.

7. WEBDRIVER TORSO

유튜브

검색창에 'Webdriver Torso'(웹드라이버 토르소)를 검색하면 영상 목록이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변한다.

이 이스터에그는 유튜브 계정 'Webdriver Torso'를 패러디한 것으로 보인다. 이 계정에는 배경이 빨간색과 파란색인 영상이 올라온다. 계정은 유튜브에서 내부 테스트를 위해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8. BEAM ME UP SCOTTY

유튜브, TheBrownsWorld

이 이스터에그는 영화 스타워즈에 나오는 대사 "Beam me up, Scotty"(스카티, 이동광선을 쏴 주게)에서 유래했다. 검색창에 'Beam me up Scotty'를 타이핑하면 화면에 파란색 레이저가 그려진다. 현재 이 이스터에그는 유튜브에서 사라졌다.

home sto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