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토피아'에 대해 덜 알려진 사실 14가지
2016-03-23 17:40
add remove print link
지난달 17일 개봉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주토피아’가 뒤늦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주토피
지난달 17일 개봉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주토피아’가 뒤늦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주토피아’는 약 한 달 동안 한국 박스오피스 1위에 오르지 못했다. 지난 12일 뒤늦게 흥행수익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23일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주토피아’는 누적 관객 수 286만 7855명을 기록했다.
‘주토피아’는 ‘겨울왕국’을 만든 월드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55번째 장편 애니메이션이다. 토끼 경찰관 주디 홉스와 여우 사기꾼 닉 와일드가 의문의 실종 사건을 추적하는 내용을 그렸다.
영화의 여운을 잊지 못하는 관객을 위해 ‘주토피아’에 대해 덜 알려진 사실 14가지를 정리했다.
(영화 스포일러가 포함됐습니다)
1. '빅 히어로'에 숨겨진 '주토피아'에 대한 힌트들
디즈니 영화 ‘빅 히어로 6’(2014년)에서 베이맥스와 히로가 기찻길 근처를 날아가는 장면이 있다. 이 장면에서 주토피아 포스터가 살짝 등장한다.
#DidYouKnow There is a poster for Zootopia in Big Hero 6 (2014) when Baymax and Hiro fly by the train tracks. pic.twitter.com/TlIWNNH2Pa
— Disney Film Facts (@disneyfilmfacts) 2016년 1월 29일
또 ‘빅히어로6’에서 허니레몬이 들고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는 닉 와일드처럼 생겼다.
[Easter Egg??] Is Honey Lemon’s phone case a reference to Nick Wilde from the upcoming @Disney_ZooTopia #BigHero6 pic.twitter.com/BGb51ud9ez
— Disney Big Hero 6 ⚽️ (@DisneysBigHero6) 2014년 8월 31일
2. 닉 와일드 비중이 줄어든 이유
‘주토피아’는 닉 와일드를 중심으로 그려질 예정이었다. 테스트 상영에서 대부분 관객은 닉에게 이입하기를 어려워했고, 주디 홉스에 더 공감했다.
지난 2014년 11월 ‘주토피아’ 제작진은 주디 홉스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변경했다. 이런 갑작스러운 변경 때문에, 리치 무어(Rich Moore) 감독은 바이런 하워드(Byron Howard) 감독과 각본가 재러드 부시(Jared Bush)를 새로 영입했다.
3. 닉 와일드 모델은 '로빈후드'
닉 와일드는 1973년 만들어진 디즈니 애니메이션 ‘로빈 후드’ 주인공 로빈 후드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닉은 로빈 후드를 3D 이미지로 해석해 만든 캐릭터다.
4. 닉 와일드는 주디의 이름을 잘 부르지 않는다
닉 와일드는 주디 홉스 이름을 단 한 번만 불렀다. 대부분 장면에서 그는 주디를 ‘당근’ 아니면 ‘토끼’라고 부른다.
5. 주디 홉스가 쓰는 휴대전화에 숨겨진 패러디

주디가 쓰는 휴대전화에 등장하는 통신사는 PB&J다. 미국 이동통신사 AT&T 패러디다.
PB&J는 피넛 버터 앤 젤리(Peanut and Jelly)의 약자다. 식빵에 땅콩버터와 딸기잼을 바르는 샌드위치를 PB&J라고 흔히 부른다.
주디가 쓰는 휴대전화 뒷면에는 당근이 새겨져 있다. 휴대전화 뒷면에 사과 마크가 있는 아이폰 패러디다.
6. 주디 홉스는 미국 드라마 ‘21 점프 스트리트’ 오마주?
Oh very good. Officer Judy Hoffs from 21 Jump Street and Officer Judy Hopps from Zootopia. I just got that today. pic.twitter.com/bAklnYIdJY
일부 팬들은 ‘주토피아’ 주디 홉스(Judy Hopps)가 미국 드라마 ‘21 점프 스트리트’(1987년)에 출연한 캐릭터 주디 홉스(Judy Hoffs)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 같다고 지적했다.
두 캐릭터는 이름이 거의 같고, 직장에서 차별을 겪는 경찰관으로 등장한다. (‘21 점프 스트리트’에서 주디 홉스는 흑인 여자 경찰이다) 이를 두고 바이런 하워드 감독은 “아주 재밌고, 놀라운 일치다”라고 말했다.
@stitchkingdom @_rich_moore @thejaredbush I just looked up Judy Hoffs. That is what we call a hilarious but amazing coincidence. :).
— Byron Howard (@ByronPHoward) 2016년 1월 7일
7. 듀크 위즐튼은 ‘겨울 왕국’에도 나온 적이 있다
도둑 족제비 듀크 위즐튼(Duke Weselton) 목소리는 배우 앨런 튜딕(Alan Tudyk)이 맡았다. 튜딕은 ‘겨울왕국’에서 위즐튼 공작(Duke of Weselton)을 연기했다. 영어로 족제비는 위즐(weasel)이라고 부르는데, 음험한 사람을 부르는 명칭이기도 하다.
‘겨울왕국’에서 캐릭터들이 위즐튼 공작(Duke of Weselton)을 위즐 타운(Weasel Town)이라고 잘못 발음하는 장면이 있다. ‘주토피아’에는 주디가 ‘위즐튼’을 ‘웨즐턴’이라고 잘못 발음하는 장면이 나온다.
8. 앨런 튜딕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단골 악당이다
(다른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듀크 위즐튼 성우 앨런 튜딕은 최근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계속 악당으로 출연했다. 그는 ‘주먹왕 랄프’(2012년)에서 킹 캔디, ‘겨울왕국’(2013년)에서 위즐튼 공작, ‘빅 히어로’(2014년)에서 알리스테어 크레이로 출연했다.
9. 듀크 위즐튼이 판매하는 DVD에 숨어있는 패러디
‘주토피아’ 한 장면에서 듀크 워즐튼이 판매하는 불법 DVD는 실제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패러디다. 이 장면에서 패러디된 영화 제목은 ‘피그 히어로 6’(Pig Hero 6· ‘빅 히어로 6’ 패러디), ‘랭글드’(Wrangled· ‘라푼젤’ 패러디), ‘주먹왕 라이노’(Wreck-It Rhino· ‘주먹왕 랄프’ 패러디), ‘미야와나’ (Meowana· 개봉 예정작 ‘모아나’) 등이다.
10. 땃쥐 미스터 빅은 ‘대부’를 패러디한 캐릭터다

툰드라 타운 타운 암흑가 보스인 미스터 빅은 ‘대부’(1972년) 캐릭터 비토 콜레오네를 패러디했다. 미스터 빅의 대사, 말투는 비토 콜레오네 역을 연기했던 말론 브란도(Marlon Brando)를 연상시킨다.
주디와 닉이 미스터 빅의 딸인 프루프루 결혼식에 초대받는 장면도 ‘대부’ 패러디다. ‘대부’에는 비토 콜리오네가 막내딸인 코니 콜리오네의 결혼식에 참석하는 장면이 나온다.
또한, 미스터 빅 저택의 차도는 ‘대부’ 한 장면처럼 체인으로 막혀있다. 그의 서재와 사무실은 ‘대부’를 모델로 삼았다.
11. 나무늘보 프리실라의 목소리는 ‘겨울왕국’ 안나 성우다
닉과 주디가 자동차국에 방문하는 장면에서 나무늘보 플래시는 동료 나무늘보인 프리실라에게 농담을 건넨다.
프리실라 성우는 ‘겨울왕국’에서 안나 역할을 맡은 크리스틴 벨(Kristen Bell)이다. 프리실라 머리에 염색된 부분은 안나 머리카락에서 변색한 부분과 비슷하다. 나무늘보는 크리스틴 벨이 제일 좋아하는 동물 중 하나다.
12. 닉 와일드 성우는 다른 작품에서도 녹음기를 사용했다
영화 후반에 닉 와일드가 녹음기를 이용해 악당의 자백을 녹음하는 장면이 있다. 닉의 목소리 연기를 맡은 배우 제이스 베이트먼(Jason Bateman)은 ‘스트레스를 부르는 그 이름 직장상사’에서 끔찍한 상사에게 녹음기를 몰래 쓰는 장면을 연기한 적이 있다.
13. 개봉 국가에 따라 뉴스 진행자가 다르다

뉴스 장면에서 개봉 국가마다 뉴스 진행자 캐릭터가 다르다. 미국과 한국에는 말코손바닥사슴(Moose)인 피터 무스브리지가 등장한다.
일본은 너구리(라쿤이 아니다!), 호주·뉴질랜드는 코알라, 중국은 판다, 영국·아일랜드는 웰시 코기가 나온다.
또한, 피터 무스브리지 성우는 캐나다 CBC 뉴스진행자 피터 맨스브리지(Peter Mansbridge)가 맡았다.
14. 던 벨웨더 부시장 사무실에 숨겨진 단서

나중에 악당이라고 밝혀지는 던 벨웨더 사무실에는 그가 악당이라는 단서가 숨겨져 있다. 그의 사무실에는 더그 이름과 전화번호가 적혀있는 포스트잇이 있다.
더그는 영화 후반에 나오는 숫양이다. 그는 육식동물들의 야수화 사건을 일으킨 흑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