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반대 집회 일당' 보도에 어버이연합 입장

2016-04-11 16:20

add remove print link

추모 노란 리본이 달려있는 팽목항 / 이하 연합뉴스 세월호 반대 집회에 '

추모 노란 리본이 달려있는 팽목항 / 이하 연합뉴스

세월호 반대 집회에 '일당 알바'가 고용돼 모두 2500만 원 가량 일당으로 지급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11일 시사저널은 "동원된 알바 수는 2014년 한 해에만 1200명이 넘었고, 지급된 돈 역시 2500만원 이상이었다"고 단독 보도했다. 매체는 '어버이연합 집회 회계장부'를 입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독] 어버이연합, 세월호 반대 집회에 알바 1200명 동원 확인 - 시사저널
대표적인 보수 단체 중 한 곳으로 꼽히는 '어버이연합'은 그동안 종종 세월호 반대 집회를 가져왔다. 매체에 따르면 단체는 상대적으로 임금이 저렴한 탈북자를 상당수 시위에 동원했다.

어버이연합은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2014년 4월부터 같은 해 11월까지 모두 39차례 세월호 반대 집회를 열었다. 시사저널은 "당시 일당 2만 원을 받고 고용된 탈북자 수는 1259명에 이르며 지급된 돈은 총 2518만 원"이라 보도했다.

같은 날 어버이연합은 위키트리에 "탈북자를 돈 주고 고용했다는 것은 오해"라고 입장을 밝혔다.

어버이연합측은 "세월호 사건이 터지기 전부터 '어버이연합'과 '탈북어머니회'는 함께 보수활동을 하고 있었다"며 탈북자를 돈 주고 고용한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 단체는 "시위 참석자에게 식사비 또는 교통비를 지급한 것은 사실이지만 고용한 것은 아니"라고 거듭 강조했다.

2014년 4월 16일 제주도를 향하던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선박에는 수학여행을 떠나던 단원고 학생 수백 명과 일반 시민이 타고 있었지만 선장은 사고 즉시 배를 빠져나오는 행태를 보였다.

초기 대응 미숙으로 결국 배는 바닷속으로 가라앉았고 295명이 목숨을 잃는 참사가 발생했다. 9명은 아직도 실종된 상태다.

사고 이후 전국은 비난 여론으로 들끓었고 전국 곳곳에서 시위가 잇따랐다. 시간이 흐르고 세월호 사태에 대한 구체적인 보상안이 거론되자 이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다. '어버이 연합'도 그 중 하나다. '어버이연합'은 일명 '유민아빠'로 불리는 김영오 씨 단식 투쟁 당시 '치킨 몰래 먹기' 퍼포먼스에 참여하거나 광화문 앞 유가족 캠프를 선동세력으로 규정하고 규탄 집회를 가졌다.

home sto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