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10억엔 출연'에 한일 정부 "상당한 진전"
2016-08-10 13:40
add remove print link
연합뉴스 (서울·도쿄=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김정선 특파원 = 한국과 일본 정부가 지난해

(서울·도쿄=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김정선 특파원 = 한국과 일본 정부가 지난해 일본군 위안부 합의에 따라 일본이 출연할 10억 엔(약 107억 원)의 사용 방향에 대해 사실상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일 양국은 9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개최한 국장급 협의에서 일본의 자금 출연문제에 있어 "상당한 진전"을 거뒀다고 한국 외교부 당국자가 밝혔다.
이 당국자는 국장급 협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오늘 협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 상부에 보고하고 그 결과에 따라 후속 조처를 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상부 보고가 승인되면 자금 출연이 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하고, "오늘 합의 내용을 상부에 보고해서 결정이 되면 큰 틀에서는 (자금 출연 문제가) 정리가 되는 게 아닌가 생각된다"고 부연했다.
이날 협의에는 우리 측에서 정병원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이, 일본 측에서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각각 대표로 참석했다.
가나스기 국장은 협의 후 이날 재단 사업에 관한 논의가 "일정한 진전이 있었다"며 협의 결과를 양국이 상부에 보고해 최종 판단을 낼 것으로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교도는 10억 엔의 용도를 둘러싸고 한일 간에 견해차가 있었지만 이번에 의견 접근을 한 것 같다고 전했다.
이어 10억엔 거출 시기는 미정이지만 한일이 목표로 하는 8월 중 실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일 양국은 지난해 위안부 합의에 따라 지난달 출범한 '화해·치유 재단'에 일본 측이 출연할 예산 10억 엔의 사용 방향 등을 논의해 왔으며, 양국 정부가 합의안을 승인하면 합의가 본격적인 집행 단계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상당히 좋은 협의가 됐다"며 일본 측 출연금 사용 방향과 관련해 "저희가 생각하는 방향과 일본이 생각하는 방향이 큰 차이가 없었다"고도 밝혔다.
다만 그는 양국이 의견 접근을 이룬 재단의 사업 방향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우리 측은 출연금이 피해자들 개개인의 희망에 맞는 '맞춤형 지원'에 쓰여야 한다는 입장에 따라 직접 수혜사업을 강조해 왔으나, 일본 측은 이렇게 출연금이 사용되면 배상 성격으로 해석될 수 있다며 경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10억 엔의 구체적인 출연 시기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앞서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재단의 활동에 지장이 초래되지 않도록 이른 시일 내에 일본 출연금이 거출되고, 재단이 활동하는 방향으로 협의를 진행 중이다"고 밝혔다.
일본 측은 이날 협의에서 자국 여론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한 일본대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문제에 대해서도 자국의 기본 입장을 재차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우리의 기본 입장을 설명했다"며 소녀상 문제가 이날 협의에서 주요한 쟁점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교도통신은 일본 측 가나스기 국장이 소녀상 철거에 대한 "한국 측의 노력"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교도는 일본이 철거를 10억엔 거출 조건으로 하지 않는다는 방침이지만 철거를 재차 요구한 것 같다고 전했다.
교도에 따르면 일본 측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의 지난달 25일 독도 방문도 거론하며 항의했다.
우리 측은 그 자리에서 "적절치 않은 발언"이라고 단호하게 지적했다고 외교부 당국자는 밝혔다.
양 국장은 이날 오전 10시께 협의를 시작한 뒤 외부 오찬을 합쳐 8시간 가까운 '마라톤 회동'을 했다.
양국은 이달 하순 개최가 추진되는 것으로 알려진 한일중 3국 외교장관회의 등의 외교일정을 염두에 두고 이견 조율에 속도를 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