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이끌게 된 장혜영이 9년 전 연세대 자퇴하며 학교에 내걸었던 글
2020-05-25 08:51
add remove print link
정의당 혁신 이끄는 혁신위원장 선출된 33세 의원 당선인
“연세대가 아닌 다른 사랑 향해 떠난다” 대자보 쓰고 자퇴
24일 열린 혁신위원회 첫 전체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선출된 장 위원장은 장애인 인권운동가 출신이다. 2011년 연세대를 자퇴하며 고려대·서울대 자퇴 학생들과 함께 대학의 무한경쟁 세태를 비판했던 인물이다. 장 위원장은 2010년 3월 자퇴한 고려대의 김예슬씨, 2011년 10월 자퇴한 서울대의 서울대의 유윤종씨에 이어 세 번째로 자퇴 행렬에 동참했다.

장 위원장은 다큐멘터리 ‘어른이 되면’를 연출한 감독이자 정치나 일상을 소재로 한 유튜브 채널 ‘생각 많은 둘째언니’를 운영하며 대중에게 이름을 알렸다.
당의 총선 참패 책임을 지고 조기 사퇴를 선언한 심상정 대표를 대신해 정의당의 혁신을 이끌게 된 장 위원장은 왜 연세대를 자퇴했던 것일까.
장 위원장은 2011년 연세대에 대자보로 내건 '공개 이별선언문'에서 “내가 떠나는 까닭은 그저 여름이 가을로 변하듯 내 마음이 어느새 학교를 떠났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는 “사랑에의 자유. 잎사귀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하는 선배를 둔 우리가 사랑 앞에 자유롭지 못하다면 그 누가 한 점 부끄럼 없이 그의 이름을 부를 수 있나. 나는 이제 연세가 아닌 다른 사랑을 향해 떠난다”고 했다.
장 위원장은 “학우 여러분은 학교를 사랑하나. 예비 학우 여러분은 연세와, 아니 대학과 사랑에 빠져 있나. 그게 아니라면 왜 굳이 지금 여기 있나. 혹시 다른 사랑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나. 정말 내일이 오나? 내가 이런 질문을 던질 때 네 명의 해맑은 영국 청년들은 이렇게 노래해줬다. ‘All You Need Is Love(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사랑뿐이에요)’. 모두 사랑하고 있나”라고 말했다. 그가 말한 ‘네 명의 해맑은 영국 청년들’은 비틀즈다.
장 위원장이 2011년 연세대를 자퇴하며 쓴 '공개 이별선언문'의 전문.
친애하는 학우 여러분, 나는 06년도에 사과대에 입학한 장혜영입니다. 나는 오늘 여러분 앞에서 공개 이별을 선언합니다. 나의 이별 상대는 여러분도 잘 아는 연세, 우리 학교입니다.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누군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자유가 너희를 진리케 하리라. 다른 누군가는 이렇게도 말했습니다.
우리가 자유를 진리하고, 또 진리를 자유케 하리라. 나는 이렇게 말하겠습니다.
자유를 진리함이란 우리는 언제나 자유로웠으며 또한 계속 그러하리라 함을 깨닫는 것이고, 진리를 자유케함이란 스스로 진실이라 믿는 바를 자유로이 펼치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제 날개의 자유를 깨달은 새들이 하염없이 하늘로 날아오르는 것처럼.
새들에게 날개의 자유가 있다면 인간으로 태어난 우리에게는 스스로가 믿고 사랑할 것을 선택할 자유, 그렇게 선택한 아름다움을 지켜낼 자유, 즉 `사랑에의 자유`가 있습니다. 이야말로 우리가 깨닫고 소중히 여겨야 할 진실에 가장 가까운 무언가가 아닐까요.
문득 생각해봅니다. 만일 연세를 만나지 않았다면, 대학에 오지 않았다면 나는 지금 이 모든 지점들에 닿을 수 있었을까. 이 느낌들, 생각들을 가질 수 있었을까. 눈 앞의 이 순간이 결코 다시 돌아오지 않음을 가슴 저리게 느낄 수 있었을까.
글쎄요. 아쉽지만 이건 그냥 과장된 강조의 수사입니다. 대학에 안 갔으면, 연세에 안 왔으면 또 그 나름 다른 무언가를 만나 지금으로서는 짐작조차 할 수 없는 다른 시간 속에 또 다른 느낌들을 가지며 살았겠지요. 우리가 사는 시간은 결코 역행하는 법이 없기에 `만일 내가 그 때 너를 못 만났다면` 같은 가정은 치사한 얘기입니다. 한편 가지 않은 길을 애써 폄하하며 상대적으로 현재를 비교우위에 놓아보려는 시도 역시 참으로 안타깝고 볼품없는 사업입니다.
나는 지금 연세에게 천의 고마움과 천 하나의 아쉬움을 담아 담담히 작별을 고합니다. 고마워, 학교야. 근데 우리 이제 더는 아냐.
감히 말하건대 우리 연애는 연탄재 발로 차도 될 만큼은 뜨거웠습니다. 하지만 어느 날, 교정에서 문득 올려다 본 하늘이 너무나 좁아보여 나는 바야흐로 이별의 시간이 다가왔음을 깨달았습니다.
내가 연세와 깨진다 하니 주변에서는 난리도 아니었습니다. 아주 다채로운 반응의 구절판을 맛보았습니다. 4년을 다녀놓고 이제 와서 아깝게 무슨 짓이냐. 조금만 참으면 그 또한 다 지나가는 것을. 혹은 네가 배가 불렀구나, 한국 사회에서 고졸로 사는 게 만만해 보이냐. 심지어는 그렇게 해서까지 쿨해 보이고 싶냐는 소리까지도 들었습니다.
허나 이 이별에는 아무런 당위도 없습니다. 물론 핑계를 대자면 삼일 밤낮을 주워섬길 수 있습니다. 이것도 저것도 다 마음에 안 들더라, 이런 줄 알았는데 저렇더라, 속았다, 지쳤다고 말입니다. 하지만 나는 나의 변심을 변호하기 위해 한 때의 연인을 깡그리 몹쓸 존재로 전락시키는 이별은 하고 싶지 않습니다. 내가 떠나는 까닭은 그저 여름이 가을로 변하듯 내 마음이 어느새 학교를 떠났기 때문입니다. 물론 내 마음이 학교를 떠난 이유는 또 다른 긴 사연입니다.
사랑에의 자유, 잎사귀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하는 선배를 둔 우리가 사랑 앞에 자유롭지 못하다면 그 누가 한 점 부끄럼 없이 그의 이름을 부를 수 있습니까.
나는 이제 연세가 아닌 다른 사랑을 향해 떠납니다.
재미없는 질문을 몇 개 남기고 싶습니다. 학우 여러분은 학교를 사랑합니까? 예비 학우 여러분은 연세와, 아니 대학과 사랑에 빠져 있습니까? 그게 아니라면 왜 굳이 지금 여기 있습니까? 혹시 다른 사랑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까? 사람은 무엇으로 삽니까? 정말 내일이 오나요? 내가 이런 질문을 던질 때 네 명의 해맑은 영국 청년들은 이렇게 노래해 주었습니다. `All You Need Is Love(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사랑뿐이에요)`. 모두 사랑하고 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