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청약통장에 월 2만원씩 넣으면 절대 안 됩니다, 그 이유를 알려드립니다

2021-02-26 15:37

add remove print link

국민주택, 최대치인 10만원 부어야 당첨 유리
급전필요시 청역통장 깨지말고 통장대출 이용

뉴스1
뉴스1

최근 시세보다 수억원 낮은 이른바 '로또 아파트' 분양이 잇따르면서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다. 아파트 청약의 시작은 바로 청약통장이다. 그런데 청약통장을 갖고 있어도 제대로 활용할 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청약통장에는 매월 얼마씩 입금하는 것이 좋을까.

민영주택과 국민주택의 차이

아파트 청약의 유형은 크게 민영주택과 국민주택으로 나눌 수 있다.

민영주택은 민간 건설사가 세우는 아파트로, 흔히 알고 있는 브랜드 아파트를 떠올리면 된다.

국민주택은 SH(서울주택도시공사),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기관이 주도해 짓는 아파트다. 전용면적 85㎡ 이하다. 면적 제한이 있지만 비교적 저렴하다.

그런데 민영주택과 국민주택은 분양권 당첨자를 뽑는 우선 순위가 다르다.

민영주택의 우선 순위는 ‘가점’이고, 국민주택의 우선 순위는 ‘납입 예치금’이다.

민영주택은 납입 예치금이 지역에 따라 200~300만원 대로 낮다. 대신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납입 기간과 횟수 등 다양한 조건에 가점이 붙는다.

국민주택은 전용 40㎡ 초과 기준 납입 예치금이 높은 순으로 당첨이 되며, 청약신청을 할 수 있는 납입 예치금의 커트라인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주요 지역에선 보통 2000만원이 넘는다.

국민주택, 月 10만원 유치해야 유리

내방객들로 북적이는 모델하우스 / 뉴스1
내방객들로 북적이는 모델하우스 / 뉴스1

한 번에 목돈을 입금하더라도, 인정되는 납입 예치금은 1회에 최대 10만원이다.

납입 횟수로 인정되는 최소 금액은 2만원이지만, 국민주택에 당첨되고 싶다면, 인정 최대금액인 10만원을 매월 붓는 것이 좋다.

민영주택만 고려한다면 월 2만원 씩 넣어도 상관없다. 하지만 아직 나에게 맞는 청약방법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가능성을 최대로 열어두기 위해 월 10만원씩 입금하는 것을 추천한다.

돈이 급해 청약통장 깨고 싶다면

급전이 필요한 경우 제일 먼저 들여다 보는 것이 청약통장이다. 당장 쓸 일은 없을 것 같고 금액도 소액이라 적당할 것 같아서다.

이럴 땐 통장을 깨지말고 청약통장 대출을 받는 것이 현명하다.

청약통장 대출은 보험 상품의 약관 대출과 유사하다. 예치해 놓은 금액 내에서 빌리는 것이다. 예치 금액의 최대 95%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청약통장에 1000만원이 들어있다면, 1~2%의 금리로 최대 950만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청약통장 쓸 일이 있을 때까지 이자만 납부하면 통장을 유지할 수 있다. 중도상환수수료가 없으므로 마이너스 통장처럼 언제든지 자유롭게 갚아나갈 수 있다.

home 안준영 기자 sto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