틈새라면 좋아하는 사람들, 침 넘어갈 소식… 드디어 '소스'가 출시됐다

2023-02-22 11:31

add remove print link

팔도 '틈새소스·핫소스' 등 2종 출시
'불닭·핵불닭소스'보다 더 매운맛

틈새라면 특유의 매운맛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희소식이 떴다.

팔도에서 '틈새소스'가 출시됐다.

종합식품기업 팔도가 출시한 틈새소스·틈새 핫소스 등 2종 / 이하 팔도 제공
종합식품기업 팔도가 출시한 틈새소스·틈새 핫소스 등 2종 / 이하 팔도 제공

종합식품기업 팔도가 지난 20일 틈새소스 2종 출시 소식을 알렸다.

틈새만의 중독적인 매운맛에 바비큐의 풍미를 담은 '틈새소스'와 매운맛에 새콤한 핫소스를 가미한 '틈새소스 핫소스'가 그 주인공이다. 두 제품의 스코빌 지수(고추에 포함된 캡사이신의 농도를 계량화해 매움 정도를 수치화한 지수)는 각각 6500SHU, 4500SHU로, 라면(틈새라면 빨계떡의 스코빌 지수 9416SHU)보다는 덜 맵다.

팔도가 이 소스를 출시한 건 다양한 음식에 틈새의 맛을 더하고자 한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하면서다. 매운 소스인 만큼 육류, 피자, 타코 등과 잘 어울리는 거로 알려졌다.

팔도의 '틈새라면 빨계떡'
팔도의 '틈새라면 빨계떡'

매운 맛으로 둘째가라면 서러울 틈새라면은 '맵부심(매운 것을 잘 참고 먹는다는 자부심)' 좀 부리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라면 중 하나다. 매운 단계를 표현할 때 흔히들 기준으로 삼는 '신라면'(2700SHU)보다 약 3배는 더 맵고, '불닭볶음면'(4400SHU)과 비교해도 2배 이상이다.

한때 매운 라면의 대명사였던 농심의 '신라면' / 농심 제공
한때 매운 라면의 대명사였던 농심의 '신라면' / 농심 제공
삼양의 '불닭볶음면' / 이하 삼양식품 제공
삼양의 '불닭볶음면' / 이하 삼양식품 제공

앞서 불닭볶음면의 인기에 힘입어 '불닭소스'를 내놓은 삼양식품도 '틈새소스'의 출격에 긴장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불닭볶음면'의 인기에 힘입어 삼양이 출시한 (왼쪽부터) 불닭소스, 핵불닭소스, 불닭마요, 까르보불닭소스
'불닭볶음면'의 인기에 힘입어 삼양이 출시한 (왼쪽부터) 불닭소스, 핵불닭소스, 불닭마요, 까르보불닭소스

삼양은 "불닭볶음면의 액상스프를 소스로 출시해달라"는 소비자 요청에 2018년 12월 '불닭소스'를 내놓은 데 이어 이듬해 4월엔 △핵불닭소스 △불닭마요 △까르보불닭소스 등 소스를 공식 출시한 바 있다.

4종 소스 중 오리지널 매운맛인 '불닭소스'는 스코빌 지수 4000SHU, 더 매운 '핵불닭소스'는 6000SHU로, 팔도의 '틈새소스'보다 매운맛이 덜하다.

스코빌 지수 1만 SHU에 육박하는 매운 맛을 내는 '틈새라면 빨계떡' / 유튜브 '팔도공식 채널'
스코빌 지수 1만 SHU에 육박하는 매운 맛을 내는 '틈새라면 빨계떡' / 유튜브 '팔도공식 채널'

입에 들어가는 순간 감각이 얼얼해지면서 머리에 땀이 팍 솟구치는 매운맛을 선호하는 사람이 많다.

매운 음식은 몸에 열을 내 땀을 배출하게 하면서 에너지 소비량을 늘리는 효과를 준다. 덕분에 지방 분해에도 영향을 주는 거로 알려졌다.

매운맛(통각)을 느끼면 고통을 줄이는 호르몬인 엔도르핀이 몸에서 생성돼 순간적으로 기분이 좋아지고 스트레스가 풀리는 효과도 볼 수 있다.

다만, 늘 너무 과하면 탈이 생긴다.

식재료 고유에서 나온 매운맛이 아닌 인위적인 첨가물이 들어가 자극적인 맛을 내는 음식은 위장 장애를 일으키고 속쓰림,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다.

home 김혜민 기자 sto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