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개인정보 유출이 의심되는 사람들은 꼭 확인하세요

2023-05-24 16:49

add remove print link

끊임없이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서비스 '주목'

최근 이동통신사, 공공기관 등을 통해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다시금 주목받는 서비스가 있다.

끊임없이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해 AI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제작한 이미지 / MS Bing Image Creator
끊임없이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해 AI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제작한 이미지 / MS Bing Image Creator

바로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털린 내 정보 찾기'다.

정부 기관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2021년 마련한 이 서비스는 간단한 인증을 거치면 본인의 개인정보(아이디·패스워드)가 온라인에서 불법 유통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2021년부터 제공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 이하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2021년부터 제공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 이하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홈페이지

방법은 간단하다.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한 뒤 '유출 정보 확인하기'에 들어간다. 별도의 회원가입은 필요 없고,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한 뒤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치면 된다.

사용자 인증(1차 본인 이메일 인증)을 거쳐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사용자 인증(1차 본인 이메일 인증)을 거쳐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1차(이메일)와 2차(계정 탈취 방지) 인증을 하면 '유출 여부 조회하기' 페이지로 넘어가는데, 자신이 온라인에서 사용하는 아이디(@ 이하 주소 제외)와 비밀번호를 입력(최대 10까지 가능)하면 유출 정보가 뜬다.

'유출 여부 조회하기' 화면에 접속한 뒤 본인이 온라인에서 사용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패스워드)를 입력(최대 10개)한다.
'유출 여부 조회하기' 화면에 접속한 뒤 본인이 온라인에서 사용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패스워드)를 입력(최대 10개)한다.

만일 해당 정보가 불법으로 유출됐다면 '유출 이력이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그렇지 않으면 '유출내역이 없습니다'란 초록색 글자가 화면에 나타난다.

계정 정보(아이디·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누르면 유출 여부가 나타난다.
계정 정보(아이디·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누르면 유출 여부가 나타난다.

조회 후 유출 사실을 발견한 사람은 아이디와 비밀번호 조합을 바꾸거나 그 정보를 사용하는 온라인 사이트를 탈퇴하는 등 후속 조치를 하면 된다. 해당 정보로 가입한 사이트가 기억이 안 나면 'e 프라이버시 클린 서비스'에 접속해 자신이 가입한 사이트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선 일괄 탈퇴도 가능하다.

현재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에서 유출 여부를 확인하려면 개인이 사용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밖에 없지만, 추후엔 이메일과 휴대 전화번호 등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이용 방법 4단계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이용 방법 4단계

개인정보 유출 사고는 해마다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2021년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 81만여 명과 전현직 직원 1만 7000여 명 등 약 83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해킹)된 사고가 난 데 이어 올해 초 국내 한 이동통신사에서도 해킹 공격으로 인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태(총 29만 7117건)가 터졌다.

개인정보 유출에 항의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AI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제작했다. / MS Bing Image Creator
개인정보 유출에 항의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AI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제작했다. / MS Bing Image Creator

해킹뿐만 아니라 관리 소홀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례도 빈번하다.

심지어 정부 기관인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건축물대장을 열람하고 발급받을 수 있는 행정 시스템에 건축물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뒷자리 포함)를 16시간가량 노출했다. 직원의 실수로 벌어진 이 유출 사고로 피해를 본 사람은 최소 1000여 명(전국 기준)이다. 시스템 점검 과정에서 벌어진 일이라고 해명했으나, 국토부는 이 일로 정부 부처 최초로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대학생·청년·신혼부부 등의 주거 불안 해소를 위해 공공임대주택(행복주택) 사업을 하는 서울시 산하 공공기관인 서울주택도시공사(SH)도 행복주택 당첨자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사고를 냈다.

매일경제가 24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SH강남서초주거안심종합센터는 최근 행복주택 입주를 앞둔 사람들에게 사전점검 안내문을 보내는 과정에서 178명의 이메일 주소를 전체 메일로 돌렸다. 규정상 개인별로 보냈어야 하지만, 담당자가 한꺼번에 전달하면서 벌어진 일이다.

매일경제 측은 "유출 항목이 이메일 주소뿐이고 유출 범위도 넓지 않은 점은 다행이지만 우발적 사고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는 전문가 의견을 덧붙이며 "회사용 이메일 주소라면 직장과 이름이 밝혀질 수 있고, 카카오톡 계정용 이메일이라면 해킹 피해로도 이어질 수 있다. 피싱 메일이나 스팸메일 표적이 될 가능성도 크다"고 경고했다.

home 김혜민 기자 story@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