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격 훈련 도중 민간인 19명 침입”… 포천 다락대 훈련장서 벌어진 일

2023-07-07 16:59

add remove print link

7일 포천 다락대 훈련장에 민간인 침입
사격 훈련 소음 탓에 항의하러 온 주민들

포탄 사격 훈련장에 민간인이 침입하는 일이 발생했다.

사진은 2016년 8월 K-55 자주포 실사격 훈련 당시 모습이다.     이하 경기도 포천 다락대 훈련장에서 진행된 각종 훈련.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뉴스1
사진은 2016년 8월 K-55 자주포 실사격 훈련 당시 모습이다. 이하 경기도 포천 다락대 훈련장에서 진행된 각종 훈련.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뉴스1

7일 오전 8시쯤 경기 포천시 다락대 훈련장에 민간인 19명이 들어와 훈련을 방해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이들은 훈련장 인근에 사는 주민들로, 사격 훈련 소음에 항의하려고 이곳을 찾았다.

다락대 훈련장에서 진행되는 실사격 훈련. K-9 자주포가 기동하고 있다.
다락대 훈련장에서 진행되는 실사격 훈련. K-9 자주포가 기동하고 있다.

주민들이 훈련장에 진입했을 당시 내부에선 포탄 사격 훈련이 진행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마터면 큰 사고로 이어질 뻔한 위험천만한 상황이었다.

2015년 12월 다락대 훈련장에서 진행된 육군 5기갑여단 신년 군사대비태세 훈련. K-1 전차가 기동사격을 하고 있다.
2015년 12월 다락대 훈련장에서 진행된 육군 5기갑여단 신년 군사대비태세 훈련. K-1 전차가 기동사격을 하고 있다.

주민들은 사격장 내부에서 항의 시위를 이어갔고,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이 이들을 설득해 밖으로 내보냈다.

다행히 이 과정에서 다친 사람은 따로 없었다.

군 당국은 "위험한 포탄 사격 중 사격장에 들어와 훈련을 방해하는 것은 국가 안보를 저해하는 비상식적인 행위"라며 "지금까지 사격 일자와 시간을 주민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하고, 훈련 전에는 반드시 안내하는 등 최대한 주민편의를 위해 노력해 왔음에도 이러한 불상사가 일어나 매우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경찰은 군 당국의 고소 조치가 있으면 해당 주민들을 형사 입건할 방침이다.

2015년 12월 다락대 훈련장에서 진행된 육군 5기갑여단 신년 군사대비태세 훈련. K-1 전차가 기동사격을 하고 있다.
2015년 12월 다락대 훈련장에서 진행된 육군 5기갑여단 신년 군사대비태세 훈련. K-1 전차가 기동사격을 하고 있다.

다락대 훈련장은 포천시 창수면 고소성리에 위치, 제7기동군단에서 관리하는 대규모 과학화 훈련장이다. 과학화 훈련장은 실전 같은 전투 훈련을 하기 위해 조성된 곳으로, 다락대의 경우 육군이 보유한 두 번째 군단급 과학화 훈련장이다.

서울 여의도 면적의 약 17배 수준인 1467만 평(약 48㎢) 규모로, 국방과학연구소 총탄약시험장도 이곳에 있다. 육군이 보유한 모든 종류의 장갑차·전차의 훈련이 가능한 장소이기도 하다.

2015년 12월 다락대 훈련장에서 진행된 육군 6포병여단 신년 군사대비태세 훈련. K-9 자주포가 사격을 하고 있다.
2015년 12월 다락대 훈련장에서 진행된 육군 6포병여단 신년 군사대비태세 훈련. K-9 자주포가 사격을 하고 있다.

전차포 훈련장과 인근 포사격장의 피탄지까지 있어 민간인 출입 시 각종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지역으로 군은 인근 주민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다락대 훈련장에서 기동사격하는 K-1 전차의 모습
다락대 훈련장에서 기동사격하는 K-1 전차의 모습

한편 다락대 훈련장에서 직선거리 기준 10㎞ 내에 있는 연천군 고문2리 주민들은 지난 5월 국방부에 집단 호소문을 냈다. 호소문에는 "군 사격 탓에 마을 주민 모두 몸과 정신 건강에 위협을 받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프레시안 보도를 보면 이 지역 주민들은 다락대를 포함 마을 인근 훈련장에서 발생하는 포탄 소리에 수십 년간 고통받고 있다고 토로, 군의 피해 보상을 거부하고 사격장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

다락대 훈련장에서 모의 훈련을 받는 군인 장병들
다락대 훈련장에서 모의 훈련을 받는 군인 장병들

한 주민은 "이 고통은 말로 할 수 없을 만큼 심하다"며 "돈 몇 푼으로 끝날 일이 아니다. 돈은 필요 없다. 사격장을 옮기는 게 진정한 피해 보상"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천군 측도 주민들의 고통을 통감, "주민들이 오랜 세월 고통을 호소하는데도 국방부는 아무 답변도 주지 않는다. 군 당국이 이를 해결할 때까지 계속 우리 의견을 강력하게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home 김혜민 기자 sto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