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천년고도 경주, 관광지 북적...지진 평온 회복

2023-12-02 17:13

add remove print link

황리단길•대릉원, 올해 1월부터 12.1일까지 1,473만명 관광객 방문
지진 당일 11.30~12.1까지 31,397명 방문, 평상시 일평균 5만에 63% 육박
첨성대•동궁과월지, 경주 보문단지 등 주요관광명소 역시 평시처럼 관광객 운집

천년고도 경주가 지난달 30일 새벽 규모4.0 지진에도 불구하고 하루 사이 일상을 되찾으면서 주요 관광지마다 방문객들이 북적이고 있다. 사진은 1일 황리단길 모습/이하 경주시
천년고도 경주가 지난달 30일 새벽 규모4.0 지진에도 불구하고 하루 사이 일상을 되찾으면서 주요 관광지마다 방문객들이 북적이고 있다. 사진은 1일 황리단길 모습/이하 경주시

[경주=위키트리]이창형.서준형 기자=천년고도 경주가 지난달 30일 새벽 규모4.0 지진에도 불구하고 하루 사이 일상을 되찾으면서 주요 관광지마다 방문객들이 북적이면서 여전히 관광도시 유명세를 타고 있다.

2일 경주시에 따르면 경주 도심의 젊은이들의 핫플레이스인 황리단길과 21년 만에 무료개방한 대릉원에 올 1월부터 12월1일 까지 14,732,033명(외국인 190만명 정도)이 방문했으며, 올 9월까지 경주방문객 3,600만여명의 41%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지진 발생 당일인 지난달 30일부터 12월1일까지 31,397명이 다녀가는 등 평상시 일평균 5만 대비 63%를 육박하는 만큼 지진으로 경주 관광 불안은 기우에 불과하다는 것이 경주시의 설명.

대릉원 입구 돌담길 1일 오후 모습
대릉원 입구 돌담길 1일 오후 모습

세부적으로 황리단길은 올해 1월부터 12월1일 현재까지 13,492,430명이 방문했고, 지진 발생 11월30일에는 14,223명, 12월1일에는 12,563명 등 26,786명이 다녀갔으며, 대릉원 또한 올 1월부터 12월1일 현재까지 1,239,603명이 다녀갔으며, 지진 발생 11월30에는 2,526명, 12월1일에 2,085명 등 4,611명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수치는 스마트관광도시 조성 사업을 추진하면서 정확한 관광객 추이를 파악해 관광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관광객 무인계측기(황리단길 31대, 대릉원 15대)에 실시간으로 체크된 데이터로 중복입장을 가려낸 수치다.

첨성대 1일 오후 모습
첨성대 1일 오후 모습

경주 황리단길은 2015년부터 지역 상인들이 옛 모습을 근간으로 젊은 층이 선호하는 개성 넘치는 가게를 열기 시작하면서 황리단길이 위치한 경주 황남동의‘황’과 이태원 경리단길의‘리단’을 합쳐 민간차원에서 자생적으로 탄생했다.

전통과 골목 퓨전 상권이 공존하며, 레트로적인 외관과 개성 있는 다양한 콘텐츠와 핫한 카페와 즐비한 맛집, 한옥 숙박 등 독특한 언더스타일의 500여개 상가 입주한 경주의 대표 골목상권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SNS와 젊은이들의 입소문 등을 통해 전국의 관광객들이 몰려오는 경주 관광의 핫플레이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황리단길 배후에는 대릉원, 봉황대, 첨성대, 동궁과월지, 월성, 교촌마을, 월정교, 오릉 등 경주 도심의 대표적인 관광명소가 즐비해 경주관광의 다양한 정서를 느낄 수 있어 전국적인 유명세를 타고 있다.

경주시는 더 매력적인 황리단길을 가꾸기 위해 황남동 마을해설사의 집 운영, 소공원 조성, 전선 지중화, 교통․보행환경 개선, 생활문화센터와 음악창작소 건립, 웹툰캠퍼스, 골목 디자인 벽화 등 H/W를 대폭 보강해 관광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경주의 대표 관광지인 보문단지 역시, 지진 피해는 전혀 없이 평시처럼 관광 ․여행객들의 회의(연회) 및 투숙 취소 등 없이 운영되고 있다.

주낙영 시장은 “갑작스런 지진으로 짧은 시간 불안감은 있었지만, 첨성대 등 주요 문화재는 물론 원전, 중저준위방폐장, 교량, 상․하수도, 아파트 단지 등 공공󰋯민간시설에 단 1건의 피해가 없으며, 황리단길, 대릉원, 보문단지 등 주요관광지에도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등 평온을 되찾았다.”며 안전경주를 적극 홍보했다.

home 이창형 기자 chang@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