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병장 월급 200만원으로 인상 논란... 아예 군의 근간을 심하게 흔들고 있다 (+이유)

2024-08-07 14:33

add remove print link

뒤늦은 대책 마련에 나선 정부

병장 월급이 내년에 크게 인상될 것으로 예고된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바로 초급 간부 지원율 감소다.

대한민국 육군 (참고 사진) / Yeongsik Im-shutterstock.com
대한민국 육군 (참고 사진) / Yeongsik Im-shutterstock.com

MBC 등에 따르면 올해 학군사관후보생 지원율은 1.7 대 1로 8년 전과 비교해 반 토막 수준으로 급감했다.

심지어 작년엔 사상 처음으로 지원자가 미달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이처럼 초급 간부 지원율이 급격하게 감소한 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는 것은 바로 병사 월급 인상이다.

2022년 80만 원 수준이었던 병장 월급은 2025년에 200만 원으로 세 배 가까이 인상될 계획이다.

반면 하사와 소위 같은 초급 간부의 기본급은 이전과 비슷한 180만 원 수준에 머무를 예정이다.

이에 따라 병사와 초급 간부의 월급 격차는 사라진다. 같은 돈을 받으면서 더 긴 복무 기간과 더 큰 책임을 감수해야 하는 초급 간부의 메리트가 없어진 셈이다.

군 관계자는 "하사나 소위는 병사보다 훨씬 더 어렵고 중요한 일을 하는데 월급 수준이 비슷해지면서 박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일선 부대에서는 초급 간부 부족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당직 근무를 설 간부가 부족해 민간인 군무원이 대신 근무를 서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군의 인력 구조가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는 걸 인식한 정부는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섰다.

대표적으로 현재 병사만 가입할 수 있는 내일준비적금을 내년부터 초급 간부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내일준비적금은 군 복무 중 적금을 들면 매달 적립액만큼 정부가 추가로 지원해 주는 제도로, 만기까지 유지하면 제대 후 최대 2700만 원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내일준비적금을 임관 2년 차 이하 중·소위와 하사까지 확대해 초급 간부 지원율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단기 복무 초급 간부의 수당 인상을 추진, 해당 정책에만 매년 3000억 원 가까운 예산이 추가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home 방정훈 기자 bluemoo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