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보상금 받을 생각에 싱글벙글”…선 넘은 망언들
2024-12-30 14:56
add remove print link
참사 애도는커녕 도 넘는 막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179명이 희생된 가운데, 온라인에서 악성 게시물과 댓글이 퍼지며 국민적 분노를 사고 있다.
![30일 전남 무안군 무안종합스포츠파크에 마련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합동분향소에서 조문객이 헌화하고 있다. / 연합뉴스](https://cdnweb01.wikitree.co.kr/webdata/editor/202412/30/img_20241230144852_166f467a.webp)
지난 29일 인터넷 커뮤니티 MLB파크에는 참사 당일 작성된 ‘무안공항 유가족들만 횡재네요’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와 조회수 2만 건 이상을 기록했다.
![지난 29일 온라인 커뮤니티 'MLB파크'에 올라온 글 / MLB파크 캡처](https://cdnweb01.wikitree.co.kr/webdata/editor/202412/30/img_20241230144502_16811323.webp)
이 게시물은 “보상금 받을 생각에 속으로는 싱글벙글일 듯”이라며 유가족을 조롱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논란이 됐다. 해당 게시물에는 300여 개의 댓글이 달렸으며, 대부분 작성자를 비판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좋아요’를 누른 이용자가 13명이나 돼 충격을 줬다.
![29일 '보배드림'에는 '무안항공기 추락에 여자 채팅 수준'이라는 제목의 글과 사진 한 장이 올라왔다. / 보배드림 캡처](https://cdnweb01.wikitree.co.kr/webdata/editor/202412/30/img_20241230144633_628ee26c.webp)
같은 날 ‘보배드림’에는 ‘무안항공기 추락에 채팅 수준’이라는 제목의 글과 사진이 올라왔다. 글 작성자인 A 씨는 “무안공항 항공기 추락사고로 무고한 시민들이 희생된 상황에서 어이없는 채팅 내용에 한숨이 나온다”며 카카오톡 채팅 캡처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속 채팅 대화에는 사고 여객기가 조류 충돌(버드스트라이크)로 착륙하지 못했다는 정황과 관련해 한 회원이 “아 나는 왜 새가 더 불쌍하지. 짠하네요”라고 답한 내용이 담겼다. A 씨는 “도대체 뭘 배우고 자랐길래 인명보다 새가 더 불쌍하다고 생각할까. 이 여성 회원은 새를 키운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SNS에서도 한 아르바이트생이 카페 관리자에게 받은 메시지를 공개해 논란이 생겼다.
해당 카톡에는 “오늘 비행기 터지는 거 봤지? 추락할 일 생기면 아빠 엄마보다 먼저 ‘알바 구하세요’ 하면서 톡을 보내라. 결근 없게 해라”라는 내용이 담겼다.
![엑스(X)](https://cdnweb01.wikitree.co.kr/webdata/editor/202412/30/img_20241230145027_8e428ce3.webp)
해당 메시지의 발신지가 공차 신세계 대구 가맹점이라는 사실이 알려지자, 네티즌들의 항의와 별점 테러가 이어졌다.
![공차 측 사과문. / 공차 홈페이지](https://cdnweb01.wikitree.co.kr/webdata/editor/202412/30/img_20241230145105_ee4cd13c.webp)
이에 공차코리아는 공식 누리집과 SNS를 통해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사고로 희생된 분들과 유가족께 깊은 애도의 뜻을 전한다”며 “본사 기본 윤리에 반하는 일이었으며, 고객들에게 실망을 드린 점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고 사과했다.
또 포털사이트 뉴스 기사에는 무안공항을 겨냥한 특정 지역 비하 댓글이 달렸다. 무안공항 청사에서 밤을 지새운 유가족들의 심경을 다룬 기사에 한 네티즌은 “전라도 토착 인민공산민주공화국”이라는 댓글을 남겨 논란을 일으켰다.
이처럼 참사와 관련한 악성 댓글이 잇따르자, SNS 사용자들은 참사 관련 기사에서 댓글 서비스를 중단해 달라는 요청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네이버는 제휴 언론사에 “일부 댓글에서 사회통념을 벗어난 글들이 작성되고 있다”며 기사별 댓글 중단 기능을 상기시켰다. 다음 역시 “댓글을 모니터링하며 현황을 파악 중”이라며 “유가족 요청이나 우려 사항 발생 시 추가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악성 댓글 문제는 꾸준히 반복되고 있다. 최근 5년간 경찰에 접수된 사이버 명예훼손·모욕 사건은 약 12만 건에 달한다. 악플 문제 해결을 위해 발의됐던 정보통신망법 일부개정안은 인터넷 준실명제 도입과 악플 작성자 처벌 강화 등을 담았지만, 21대 국회 임기 종료로 폐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