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미 관세 대응 지역 기업 피해 최소화 머리 맞대

2025-04-08 16:25

add remove print link

기업 등과 미국 25% 관세정책 따른 비상경제 대책 회의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계획…산업별 영향분석 등 전방위 논의
주요 수출산업 보호위해 정부 대미협상 강화 등 촉구키로

[위키트리 광주전남취재본부 노해섭 기자]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는 미국 정부가 우리나라에 대해 25%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함에 따라 8일 트럼프 2기 관세정책 비상경제 대책회의를 열어 지역 기업 피해 최소화 등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박창환 전라남도 경제부지사가 8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트럼프 2기 관세정책 비상경제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미국 상호관세 부과 발표에 따른 위기 진단 및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박창환 전라남도 경제부지사가 8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트럼프 2기 관세정책 비상경제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미국 상호관세 부과 발표에 따른 위기 진단 및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회의는 박창환 전남도 경제부지사 주재로 진행됐다. 전남지역 경제·산업 유관기관으로 구성된 트럼프 2기 관세정책 대응 테스크포스(TF) 위원과 롯데케미칼 첨단소재㈜, 포스코HY클린메탈㈜,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나주배원예농업협동조합, ㈜신안천사김, ㈜BK에너지 등 기업 대표, 관계자도 참여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했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 5일(미국 현지시간)부터 전 세계를 상대로 10%의 기본관세를 발효했고, 9일부터는 60여 교역국을 상대로 상호관세를 발효하면서 우리나라에 대해서는 추가 15%의 관세를 부과할 전망이다.

이번 관세 부과로 전남 주요 수출 품목의 가격경쟁력을 저하하고,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하는 등 무역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철강, 석유화학, 이차전지, 농축산 및 수산 분야 등 주요 산업별 영향 분석과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전방위적 논의가 이뤄졌다.

회의에선 ▲수출물류비 절감을 위한 광양항 활성화 지원 ▲탄소중립, 스마트화 제조공정 설비 개선 지원 등 제조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 ▲전기차 외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분야 배터리 산업 다각화 ▲수출 컨설턴트(통상닥터)를 활용한 찾아가는 통상애로센터 운영 ▲수출기업 융자 확대 등 경영안정 지원 ▲한류 식품 중심 현지화 전략 ▲유통·마케팅 채널 다각화 등이 논의됐다.

특히 전남도는 관세 부과에 따른 피해(우려) 기업을 대상으로 긴급경영안정자금(100억 원)을 지원하고, 수출기업 지원보증(50억 원)도 지원할 계획이다.

* 긴급경영안정자금 : 100억 원, 이자지원(2.9%p)

* 수출기업 지원보증 : 50억 원(보증수수료 0.8%)

앞으로 전남도는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업종별 자체 지원대책을 구체화하고, 정부 차원의 대미협상 강화 및 금융·자금 등 지원대책도 조속히 강구토록 건의할 예정이다.

박창환 부지사는 “전남의 주요 전략 수출 품목인 석유화학·철강·농수산물 등 분야에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며 “정부 차원의 체계적 지원책이 마련되도록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정부에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home 노해섭 기자 noga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