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이 찌뿌둥하세요? 일단 베개부터 점검하세요"

2025-04-08 19:34

add remove print link

수면의 비밀: 숨겨진 세균의 위험

매일 사용하는 베개가 화장실 변기보다 더럽다는 놀라운 내용이 밝혀졌다.

영국 맨체스터대학교 연구진은 실험을 통해 일반적인 베개 커버 한 장에서 최대 10만 마리 이상의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는 변기 시트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수보다 최대 17배 이상 많은 수치다. 베개는 겉보기에는 깨끗해 보일 수 있으나, 매일 밤 체온과 땀, 침, 피부 각질 등이 축적되며 박테리아와 진드기의 온상이 된다.

특히 문제되는 세균은 포도상구균, 대장균, 진균류다. 포도상구균은 피부염이나 모낭염, 여드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감염 위험까지 높일 수 있다. 대장균은 소화기 질환의 원인이며, 베개에 축적된 경우 입, 코, 눈을 통해 쉽게 체내로 유입될 수 있다. 진균류는 천식, 비염,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높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New Africa-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New Africa-shutterstock.com

베개 내부의 충전재 또한 문제다. 시간이 지날수록 땀과 습기로 눅눅해진 충전재는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운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털 베개나 솜 베개는 통기성이 낮아 박테리아 번식 속도가 더 빠르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전문가들은 베개 하나가 2년 이상 사용될 경우, 무게의 약 10%가 먼지, 각질, 진드기 사체 등으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베개 위생 관리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하다. 침대 시트는 주기적으로 세탁하면서도 베개 커버는 수 주에 한 번, 베개 자체는 몇 년간 교체하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 이는 얼굴 피부 트러블, 결막염, 호흡기 질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피부과 전문의들은 베개를 최소 주 1회 이상 커버를 세탁하고, 베개 자체는 6개월~1년 주기로 교체하는 것이 위생 유지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한다. 세탁 시 60도 이상의 온수로 세균을 제거하고, 햇볕에 완전히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통기성과 항균 기능이 뛰어난 메모리폼이나 기능성 소재 베개를 선택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Wdnld-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Wdnld-shutterstock.com

무엇보다 위생 관리는 건강한 수면을 위한 기본 조건이다. 우리가 하루 평균 6~8시간을 머무는 베개는 피부와 호흡기에 밀접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침구류 중에서도 가장 위생에 신경 써야 할 요소 중 하나다. ‘숨은 위협’으로 자리 잡은 베개 속 세균은 단순한 불쾌함을 넘어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아무리 편안하고 익숙한 베개일지라도, 정기적인 세탁과 교체 없이는 ‘세균 덩어리’로 전락할 수 있다. 얼굴 트러블이 반복되거나 원인 모를 알레르기 증상이 있다면, 특히 베개부터 점검해야 한다.

home 위키헬스 기자 wikihealth7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