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 상병 사건 다시 수사 “임 전 사단장 휴대폰에서…”

2025-04-22 14:01

add remove print link

해병대 채 상병 사건, 진실은 어디까지일까?
공수처, 숨겨진 외압 의혹 밝힐까

급류에 휩쓸린 민간인 수색 작업에 나섰다가 순직한 고 채수근 상병 사건이 다시 재수사된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과 관련한 외압 의혹 수사를 재개한다.

공수처는 오는 23일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을 소환해 디지털 증거에 대한 포렌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는 압수된 전자매체 내에서 범죄 혐의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피압수인의 참여를 보장하는 절차로 이뤄진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공수처는 지난해 1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압수했으나, 비밀번호 잠금 해제로 인해 자료 분석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임 전 사단장은 국회에서 해당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진술했으나, 공수처는 일부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경찰의 협조를 받아 포렌식 절차를 거쳤으며, 지난 중순 휴대전화를 다시 확보했다. 임 전 사단장은 지난해 8월에도 공수처에 출석해 포렌식 과정에 참관한 바 있다.

이번 외압 의혹은 해병대 수사단이 임 전 사단장을 경찰에 이첩하는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 국방부 고위 관계자들이 개입했다는 주장을 중심으로 제기돼 왔다. 공수처는 지난해 11월까지 관련자 조사를 진행했으나, 이후 계엄 관련 내란 혐의 수사에 인력을 집중하면서 채 상병 사건 수사는 잠정 중단된 상태였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 뉴스1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 뉴스1

공수처는 최근 계엄 사건 수사가 일정 부분 정리됨에 따라 채 상병 사건 수사를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공수처 관계자는 “박정훈 대령의 1심 판결이 나온 상황에서, 수사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점”이라며 “현재 수사팀 판단에 따라 포렌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계엄 수사 정리는 단순한 처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 수준의 진척이 이루어진 후 채 상병 사건도 병행 수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수처의 이번 수사 재개는 유족과 군 인권단체가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진상규명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도 해석된다. 향후 관련 수사가 과연 어디까지 확대될지 주목된다.

박정훈 대령 / 뉴스1
박정훈 대령 / 뉴스1
home 위키헬스 기자 wikihealth7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