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초유의 '대통령 권한대행의 권한대행의 권한대행 체제’
2025-05-02 08:46
add remove print link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 공정 선거관리에 중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일 "무거운 책무를 맡게 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대선을 한 달 앞둔 기간이기 때문에 공정한 선거관리에 중점을 두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부터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수행하는 이 대행은 정부서울청사 출근길 기자들과 만나 '대행으로서 가장 중점을 두는 분야가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대행은 '대행의 대행의 대행'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은 입장에 대해 "국정은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안정적으로 국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교육부 장관이 대행으로 맡음으로써 외교·안보·통상에서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에는 "국회와 충분히 소통하고 국무위원들과 잘 논의해서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의대교육과 관련해서는 "일단 의대생들은 반드시 돌아와야 한다고 생각하고 철저하게 학사 관리하도록 하겠다"면서 "의대 문제를 포함해 여러 난제를 짧은 기간이지만 해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국정 서열 4위인 이 권한대행은 전날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잇따라 사퇴하면서 이날 0시부터 대행직을 이어받게 됐다.
최 전 부총리는 전날 오후 10시 28분께 전격적으로 사의를 밝혔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국회 본회의에서 최 전 부총리 탄핵안 상정을 선언하기 약 4분 전이었다. 관련 의사일정 동의안건이 상정된 시점이었다. 한 전 대행은 약 20분 뒤 최 전 부총리의 사표를 수리했다.
최 전 부총리는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등을 위해 국회 본회의에 참석 중이었다. 사의표명 소식이 알려진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지 않고 본회의장을 빠져나갔다.
최 전 부총리는 별도로 기자들에게 배포한 메시지에서 "대내외 경제 여건이 엄중한 상황에서 직무를 계속 수행할 수 없게 돼 사퇴하게 된 점을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 전 부총리 탄핵안은 지난 3월 21일 민주당 주도로 발의돼 지난달 2일 본회의에 보고됐다가 법사위로 회부됐다.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던 최 전 부총리가 헌법재판소 결정에도 당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아 국회 권한을 침해했다는 것이 탄핵소추 사유다.
법사위는 지난달 16일 '기획재정부 장관 최상목 탄핵소추 사건 조사' 청문회를 열었으나 조사결과 보고서는 채택하지 못한 채 청문회를 종료했다.
최 전 부총리는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에 이은 윤석열 정부의 두 번째 경제부총리다.
지난해 1월 취임 이후 '역동 경제'를 기치로 걸고 민간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기업 투자 지원 확대, 상속세 개편 등을 추진했지만 '부자 감세'라는 비판도 받았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윤 전 대통령과 한 대행이 잇달아 탄핵소추 되자 88일간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기도 했다.
권한대행 기간 국무총리 직무대행, 기존의 '경제 컨트롤타워'에 더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까지 '1인4역'을 맡았다. 그는 국회가 추천한 헌법재판관 후보자 3명 중 2명만 임명했다가 여야 양측으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한 전 권한대행이 사퇴한 날 공교롭게도 최 전 부총리마저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결국 대통령 권한대행은 국무위원 서열 4순위인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맡게 됐다. 헌정사상 초유의 '대행의 대행의 대행 체제'인 셈이다.